-
[정훈이 만화] <변신> 갈수록 사악해지네
[정훈이 만화] <변신> 갈수록 사악해지네
-
최근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역사를 새로 썼던 이충렬 감독의 <워낭소리>(2009)를 기억하는 분들에게 안타까운 소식이 연달아 전해졌다. 지난 7월 경북 봉화군 상운면에 있는 <워낭소리> 속 노부부의 집이 화재로 사라졌고, 그 주인공인 이삼순 할머니 또한 그보다 한달 앞서 6월 19일 별세했다. 영화 속에서 답답한 할아버지를 향해 (사진관에서 웃지 않는다며) “웃어!”, (온갖 잡동사니를 다 끌어안고 산다며) “버려!”라고 외치던 그 모습이 지금도 선하다. 영화의 또 다른 주인공인 최원균 할아버지는 2013년 먼저 세상을 떠났다. 평균 수명 15년을 훌쩍 넘겨 노부부의 보살핌 속에 무려 마흔살까지 살았던 누렁소가 2011년 워낭소리공원에 묻힌 뒤였다. 그렇게 최근 뜻하지 않게 뉴스로 <워낭소리>를 오랜만에 떠올리게 됐다. 어느덧 10년 전 영화다. 2009년 한국 독립영화의 약진은 당시 한국영화계를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였다. 2009년 1월
[주성철 편집장] <워낭소리>와 <똥파리> 2009년의 한국 독립영화
-
카녜이 웨스트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는 본업인 음악 외에도 패션계에서 걸출한 인물로 알려졌다. 이곳에 음악 얘기를 쓰고 있지만, 나의 본업은 패션 저널리스트이다. 그래서 패션 이야기라면 카녜이 웨스트처럼 하나의 문화 상징으로 자리매김한 인물에 관해서는 쓸 이야기가 많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그의 음악에는 별로 끌린 적이 없었다. 랩 스타의 허세 넘치는 자랑과 자신감은 아무리 들어도 친근해지지 않았다. 그러다 최근 들어 카녜이 웨스트의 음악을 ‘제대로’ 듣게 되었다. 걸작으로 평가받는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와 그 이후의 최신 음악을 먼저 들었다. 어라, 내가 생각했던- 편견에 사로잡힌- 그런 음악이 아니었다. 그는 멜로디와 샘플링으로 음을 가지고 놀았고, 당차게 내뱉는 래핑도 훌륭했다. 하지만 ‘꽂힌’ 음반은 따로 있다. 2007년 카녜이 웨스트가 발매한 《Graduation》이다. 나는 이 앨범 최고의 명곡으로 <I Wonder>를
[마감인간의 music] 카녜이 웨스트 , 노동요의 재발견
-
최근 시인의 직업적 정체성과 커리어를 연구하고 있다. 시인을 비롯한 예술가들의 직업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그리 많은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그 연구들은 예술가가 직업적으로 매우 애매한 존재임을 보여준다. 조직에 속해 정기적으로 임금을 받는 경우도 드물고 표본으로 삼을 일반화된 커리어 경로도 알려져 있지 않다.
화가는 자신의 작품을 고가로 팔기도 한다. 배우는 명성을 쌓으면 높은 출연료를 받기도 한다. 하지만 시인의 경우는 유명시인이라 할지라도 정해진 인세와 원고료를 받는다. 시집 또한 몇년에 한번 출간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원고료와 인세로만 먹고사는 시인은 이 세상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시인은 대부분 “다중직업 종사자”이다. 어떤 연구는 시인을 가리켜 “커리어만 있고 직업은 없는 존재”라고 칭하기도 한다.
나는 지금까지 예닐곱의 시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대부분 문학 관련 강의에 종사하거나 출판사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다. 그러나 그외의 공통점은 많지 않았다
시인이라는 직업군
-
-
감독 마이크 피기스 / 출연 니콜라스 케이지, 엘리자베스 슈 / 제작연도 1999년
내 인생의 영화라니…. 아주 어려운 질문이다. 너무 많이 썼을 이런 문장으로 시작하는 것이 부끄럽지만 딱히 다른 표현으로 바꾸기에는 재주가 부족한지 썩 좋은 문장이 떠오르지 않는다. 다시, 내 인생의 영화라니…. 그럼 어린 시절로 돌아가봐야 할까 잠시 고민했지만 그런 얘기도 많이들 했을까 싶어 역시 부끄러워서 다 커서 겪은 영화들을 떠올려보았다. 음….
왜 이 지경이 되었을까. 영화는 불필요한 설명을 하는 대신 바로 벤(니콜라스 케이지)과 세라(엘리자베스 슈)의 안타까울 만큼 망가진 현재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어지는 두 사람의 이야기는 아마도 괜찮았을 과거의 모습으로 다시는 돌아갈 수 없음을 명확히 알려준다.
단 한번! 각자의 시간에 있던 두 사람이 처음 만나는 순간. ‘둘이서 이 시련을 극복할 거야’라는 아름다운 엔딩을 순진하게도 잠깐 상상해봤지만 술을 그만 마시라는 말을 하면 안 된다는
[내 인생의 영화] 박주영 감독의 <라스베가스를 떠나며>
-
집에서 일하거나 집에서 노는 사람으로서 매번 놀라게 되는 일이 있다. 밥만 먹었을 뿐인데 하루가 다 가다니, 생산적인 일은 하나도 못했는데! 그리고 점심 먹자마자 꼭 하는 말이 있다. “저녁에 뭐 먹지?” 밖에서 밥을 사 먹는 사람에게도 다음 끼니 결정은 하루 중 가장 중요한 고민일 것이다. 배우 염정아·윤세아·박소담이 출연하는 tvN <삼시세끼-산촌 편> 역시 그렇게 세끼를 먹고 치우고 또 해먹고 치우는 예능이다. 남자끼리 몇번 했던 프로그램의 새 시즌을 여자들이 맡았으니 ‘이제야?’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반가운 마음이 앞질러 나가는 건 어쩔 수 없다.
“(요리에) 노력은 해봤는데 맛이 없대. 그래도 우리 셋 중 내가 제일 나은 거 같은데?” 기혼 유자녀 여성 연예인이 흠잡을 데 없는 직업인이면서 ‘살림꾼’이길 기대하는 한국 사회의 통념이 있거나 말거나, 딱히 민망해하지 않고 씩씩하게 상황을 정리하는 염정아는 독특한 생활감을 가진 사람이다. 비록 닭 깃털은 무서워하
[TVIEW] <삼시세끼-산촌 편>, 맛이 없으면 좀 어때
-
[정훈이 만화] <라이온 킹> 대마도에 사람이 없대
[정훈이 만화] <라이온 킹> 대마도에 사람이 없대
-
“우리는 시간과 공간으로 둘러싸인 상자 안에서 살아간다. 영화는 그 벽에 난 창문이다. 우리는 영화를 통해 다른 이들의 마음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중략) 영화를 보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다른 사람의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지난 2013년 향년 70살로 세상을 뜬 영화평론가 로저 에버트가 자신의 평론집 <위대한 영화>에 머리말로 남긴 글 중 일부다. 글에서‘영화’를 ‘영화비평’으로 바꿔 “사람들이 영화비평을 읽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다른 사람의 시각에서 영화를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일 것”이라 써도 맥락은 엇비슷하다. 마찬가지로 그 앞의 문장도 “영화비평을 통해 영화감독의 마음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고 바꿔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미디어 과포화의 시대를 살아가는 지금, 갈수록 비평을 통해 ‘다른 사람의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보려는’ 그 순간, 혹은 그러고자 하는 사람들을 쉬이 찾아보기 힘들게 됐다.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비평의 위기’의 본
[주성철 편집장] 제24회 영화평론상 공모전 후기
-
김수영이 커버한 스팅의 <Englishman in New York>은 유튜브에서 97만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유는 직접 보면 바로 알게 된다. 근래에 보기 드문 노래 실력이기 때문이다. 타고난 우아한 음색이 매력적이고 그것을 가다듬는 음정과 리듬감이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노련하다. 아무것도 없는 출발점에서 튀는 실력만으로 지금의 기반을 다진 것이다.
유튜브 구독자 수나 음원 사이트의 ‘좋아요’ 개수가 아직 많진 않지만 그 아래에 달린 댓글엔 칭찬을 넘어 감탄의 수사들이 자주 등장한다. 아직 대중적 히트곡은 없지만 꾸준히 지켜본 사람들 사이에 ‘믿고 듣는’ 이미지가 확고히 자리했다. 그녀의 상승세와 가능성은 최근에 십센치, 선우정아, 옥상달빛이 소속된 매직 스트로베리 사운드와 계약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앞으로 얼마나 성장할지 기대되는 아티스트다. 일단 독보적인 음색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지녔다. 게다가 그 색깔이 최근의 독특함을 선호하는 분위기와 반대로 수수
[마감인간의 music] 김수영 <비워내려고 합니다>, 그루브 분실 금지
-
사람들이 본명으로 오해하곤 하는 ‘김겨울’이라는 이름은 사실 필명이면서 예명이다. 음악을 하겠다고 곡을 쓰고 공연을 하러 돌아다니던 시절 지었다. 본명이 너무 평범해서 기억에 남을 만한 이름을 하나 지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여기에는 어릴 때부터 내 이름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던 탓도 있다. 이름을 부르면 한반에서 4명이 손을 들곤 했으니까. 뭔가 멋진 이름을 새로 짓기로 결심하자마자 곧바로 ‘김겨울’이라는 이름이 떠올랐다. 누가 쓰고 있는 이름일 것 같아 포털 사이트에 검색해보니 뮤지션 중에는 같은 이름을 쓰는 사람이 없었다. 인스타그램에 검색했을 때는 수많은 집의 귀여운 반려동물을 보게 되긴 했지만. 겨울, 하고 발음하면 ‘ㄱ’과 ‘ㅕ’에서 서늘한 바람이 불고, ‘ㅇ’과 ‘ㅁ’에서 따뜻한 울림이 돈다. 나는 그게 내 이름이 될 수 있다는 게 좋았다. 그래서 내 이름은 ‘김겨울’이 됐다. 그 이름으로 몇년 동안 음악도 하고 유튜브도 하고 책도 냈다. 나는 간헐적으로 아예 개명을 할지 고
이름을 불러주세요
-
*<데드 돈 다이>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우리집>의 12살 하나(김나연)는 엄마 아빠의 불화로 금이 간 가족을 묶어세우느라 바쁜 여름을 보내는 중이다. 온 식구가 식탁에 둘러앉은 모습을 보고 싶어 음식을 만들고, 가족 여행을 궁리한다. 윤가은 감독의 단편 <손님>(2011)과 <콩나물>(2013)의 소녀들이 그랬듯, 하나는 부모를 달래고 보살피려는 아이다. <우리집>의 ‘집’은 가정을 뜻하기도 하고 말 그대로 가족이 사는 집이기도 하다. 잦은 이사에 지친 이웃 자매 유미(김시아)와 유진(주예림)과 친해진 하나가 막아야 할 재앙은 이혼과 이사, 두 가지로 늘어난다. 그러나 두 집을 지키려고 애쓰는 동안 세 아이는 그들만의 작은 집을 하나 짓게 된다.
07/31
짐 자무시는 기존 장르를 취해 자무시 월드의 한 구역을 만들어왔다. 테마파크의 ‘무슨 무슨 랜드’처럼. 그 서쪽 끝에 웨스턴 장르를 전유한 <데드 맨>(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데드 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