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독 피터 위어 / 출연 짐 캐리, 에드 해리스 / 제작연도 1998년
밀레니엄을 앞두고, 사람들은 묘한 기대와 불안을 끌어안고 있었다. 그 당시 영화쪽으로 진로를 변경하기로 마음먹고서 나도 매일 흔들리고 있었다. 미래를 불안하게 만드는 것도, 가라앉혀주는 것도 영화였다. 안정제를 먹듯 매일 닥치는 대로 영화를 보면서 현실과 이야기 속 가상 세계를 오가는 일상을 보내던 때가 있었다. 그때 그 시절을 회상하면 수많은 거장들의 작품보다 다가올 미래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 영화 <트루먼 쇼>가 먼저 떠오른다.
누군가의 삶이 전세계에 생중계된다는 이 영화의 설정은 너무나 유명하다. 태어나서 30년 동안 부모, 친구, 이웃, 심지어 아내 역할로 고용된 배우들과 일상을 보내고 있었다는 사실을 몰랐던 트루먼(짐 캐리)은 우연한 몇몇 사건을 겪으면서 의심을 품기 시작한다. 나의 삶이 진정 나의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깨닫는 모든 순간들이 영화적으로는 코미디지만 그에게는 끔찍한
[내 인생의 영화] 김종민 프로그래머의 <트루먼 쇼>
-
‘삽삽삽삽-.’ 복도 바닥을 스치는 교사용 슬리퍼 소리가 빨라진다. 뭔가 일이 생겼다. 교사가 학생들 틈에서 뛸 수 없으니 잰걸음으로 교무실로 향하는 소리일 때도 있고, 부서간 회의시간이 겹쳐 낭패를 겪는 교사의 발소리일 때도 있다. 학교 복도에 구두 굽 소리를 내는 이는 학생이나 교직원이 아닌 외부 방문객이다. 사립고등학교 기간제교사 채용 면접을 보러온 국어과 교사 고하늘(서현진)의 발소리도 외부인에서 내부인의 것으로 바뀌었다.
tvN 드라마 <블랙독>의 주인공은 교사들이다. 하나같이 검정색 슬리퍼를 신어도 정교사와 기간제교사의 처지는 같지 않다. 졸업하고 찾아오겠다는 학생들의 해맑은 약속에 기간제교사는 시선을 피하고 말끝을 흐린다. 교사는 맞는데 ‘진짜 교사’가 아니란다. 고하늘은 불안정한 위치에 놓인 교육현장의 당사자가 되어 복도 안쪽으로 걸어들어간다.
사고나 위기가 생기면 끊임없이 대응하고 수습하는 곳이 학교다. 보통의 교육계 고발 드라마라면 채용비리, 학교
<블랙독>, 정답이 없는 궁리
-
[정훈이 만화] <히트맨> 나도 이제 웹툰 작가야!
[정훈이 만화] <히트맨> 나도 이제 웹툰 작가야!
-
올해 설 연휴엔 15년 만에 외가를 찾았다. 나에게 외가는 언제나 친척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으며 다정하게 소란스러운 공간으로 남아 있다. 그 기억이 15년 전 다소 갑작스럽게 단절된 건 외할머니의 죽음 때문이었다. 방학 때마다 시간을 내 부러 찾곤 했던 외할머니의 공간에, 당신이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지한 채로 방문할 용기가 부족했던 것 같다. 2010년대를 훌쩍 떠나보내고 다시 찾은 외할머니의 정원은 태연자약하도록 그대로였다. 작은이모와 나는 그곳에 잠시 서서 고인의 부재를 사이에 두고 과거형의 대화를 나눴다.
스크린과 브라운관을 통해 온갖 종류의 죽음을 간접 체험하는 일을 업으로 삼고 있음에도, 가까운 곳에 존재하던 이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받아들이기는 힘들다. 오랜만의 외가 방문에 이어 예기치 못한 부고 소식을 여러 차례 들으며 설 연휴를 보내고 나니 죽음에 대한 생각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1월 말이다. 지난 1월 25일에는 <살기 위하여> <설
[장영엽 편집장] 어떤 죽음
-
-
노아 바움백 감독은 1995년에 데뷔작을 만들었다. 감독은 나이가 들었고 그보다 열 몇살 어린 나도 나이를 먹었다. 2019년 12월 어느 저녁, 사무실에서 저녁을 먹고 감독의 최신 작품을 보았다. 스칼렛 요한슨과 애덤 드라이버가 주연한 가족영화- 의 탈을 쓴 다 큰 어른들의 성장영화- 로 제목은 <결혼 이야기>였다.
아내와 남편은 각각 로스앤젤레스와 뉴욕을 상징한다. 그들은 모두 재능이 넘치고, 타이밍은 맞지 않았으며, 서로를 누구보다 잘 알고있다. 관심 없는 것에 금세 질리는 아이가 글자를 조금씩 더 읽게 되는 것처럼, 사회적으로 성숙하고 생물학적으로 성장한 어른들 역시 조금씩 더 살아가는 것과 지나가는 것을 알고, 또 이야기할 줄 알게된다. 결혼이라는 미끼(?)로 이혼을 다루면서, 나이가 들수록 생기는 새로운 경험이란 어떤 식으로든 깊게 남는다는 말을 건넨다.
노장 영화음악가이자 싱어송라이터인 랜디 뉴먼은 <결혼 이야기>에서 그 잔상을 음악 속에 훌
[마감인간의 music] 랜디 뉴먼 <결혼 이야기> O.S.T, 깊이 남다
-
“학생, 나 이것 좀 도와줘.” 종로3가 지하철역 계단을 오르는데 한 어르신이 제법 무거워 보이는 짐을 들어 보이며 도움을 청했다. 어르신의 말에 민망했던 건 내가 짐을 들어주기에 적당한 근력을 지니지 않아서가 아니라, 바로 “학생”이라는 호칭 때문이었다. 어르신, 저는 결혼해서 자녀를 두었다면 그 아이가 학생 소리를 들을 나이인데 학생이라니요. 누가 들으면 어쩌려고요.
김지운 감독의 데뷔작 <조용한 가족>(1998)에서 안개 산장을 방문한 낯선 손님(기주봉)이 산장집 아들에게 묻는다. “학생, 학생은 고독이 뭔지 아나?” 송강호 배우가 연기한 아들은 이에 특유의 톤으로 답한다. “난 학생 아닌데요.” 종로3가역 어르신께 이렇게 단호하게 오류를 교정해드릴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물론 그럴 생각도 없었지만, 혹시나 어르신께서 내게 호의를 사기 위해 미리 치르신 사례일 수도 있었기에 감사한 마음으로 학생이란 호칭을 날름 받아 삼켰다.
<조용한 가족>이 개봉한
학생인데요
-
감독 앤드루 스탠턴 / 목소리 출연 벤 버트, 엘리사 나이트, 제프 갈린, 프레드 윌러드, 존 라첸버거, 시고니 위버 / 제작연도 2008년
보스턴에서 어학연수를 할 때였다. 성공적인 유학생이 되겠다는 일념하에 유학길에 올랐지만 생각보다 높은 영어 장벽에 심신이 지쳐 있었고, 그것을 풀기에 영화처럼 좋은 것이 없었다. 아무 생각 없이 보기에 애니메이션만큼 좋은 것은 없었고, 애니메이터를 꿈꾸던 나로선 당시 상영 중이던 픽사의 <월·Ⓔ>는 당연한 선택이었다. 픽사에 별 감정이 없던 나는 그때부터 완전히 팬이 되고 말았다.
영화는 시종일관 대사 없이 진행된다. 지구에 쓰레기를 치우기 위해 홀로 남아 있는 월·Ⓔ는 ‘삐삐’ 소리만 낼 뿐, 관객이 판단할 수 있는 월·Ⓔ의 감정이라고는 눈꼬리가 내려갔다 올라갔다 하는 정도일 것이다. 애니메이터로서 만약 그런 로봇을 애니메이팅한다면, 감정표현이 어려운 작업이 될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로봇의 감정을 온전히 느낄 수 있었
[내 인생의 영화] 김규현 애니메이터의 <월·Ⓔ>
-
뜨거운 환대 속에 가수 양준일이 돌아오면서, 그가 출연했던 90년대 초 예능도 유튜브에서 인기다. 그런데 양준일을 보려면 한국 문화와 언어에 서툰 그를 비웃거나 홀대하던 진행자들의 무례함을 견뎌야 한다. 과거를 돌아보며 격세지감을 느낄 수 있으면 좋겠지만, 최근 JTBC <아는 형님>에는 ‘(여자)아이들’의 대만인 멤버 슈화가 출연했다. 한국어를 완벽하게 구사하지는 못하지만 “저는 그냥 말해요. 표현력이 부족하더라도. 처음부터 끝까지 하고 싶은 말 다 하고있어요. 숨기지 않아요”(<GQ>)라고 말한 적 있는 슈화는 토크 예능에 관심이 있다고 밝혔다. “한국말이 아직 좀 어렵지 않냐?”라는 방송인 장성규의 질문에도 당당히 “어렵지 않다”고 맞받았는데, “슈화는 어렵지 않아! 듣는 우리가 어려워!”라는 가수 신동의 농담이 슈화의 자신감을 우스운 것으로 만들었다.
예능에서는 ‘한국인 다 된’ 외국인 남성이 누구보다 환영받지만, 한국어가 서툴고 나이 어린 외국인 여
<아는 형님>, 누가 웃는가?
-
2020년 설에도 찾아왔습니다. <씨네21>이 준비한 설 합본 특대호 독자선물! 정훈이 퀴즈를 푸시고, 선물 받아가세요! <씨네21>에 있는 독자엽서에 영화퀴즈 정답을 적어, 2월 10일까지 보내주시면 됩니다(2월 10일 소인까지 유효). 당첨자 발표는 2월 14일에 발행되는 <씨네21> 1243호에 실리고, 발표 후 2주 이내에 선물이 발송됩니다. 새해 큰 복 받아가세요! 문의 [email protected]
* 자세한 선물의 종류와 이미지는 1240호 지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훈이 만화] 2020 설날 영화 퀴즈 - 닥터 두리틀을 해치지 않아
-
1월 셋쨋주 <씨네21> 편집부의 공기와 어울리는 음악을 선곡하자면 스터길 심슨의 <The Dead Don’t Die>를 택할 것이다. 예년보다 설 연휴가 빠르게 찾아온 까닭에 한달 반 남짓한 기간 동안 두권의 특별호와 한권의 특대호 마감이라는 큰 산을 넘게 됐다. 키보드 치는 소리와 교정지 넘기는 소리, 이따금 정적을 깨는 한숨 소리가 들려오는 사무실에 앉아 점점 안드로메다로 향하는 정신줄을 부여잡으며 모두가 마감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하지만 마감의 고통과 잡지의 재미는 정비례한다고 자신할 수 있을 만큼, 이번 설 합본 특대호에는 볼거리, 읽을거리가 많다. 예능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는 여성 엔터테이너 송은이를 심층 인터뷰한 김혜리 기자의 글부터 올해 스크린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칠 다섯명의 신인배우를 조명한 특집까지 우리의 번아웃이 독자의 즐거움이 되길 바라며 준비한 기사들을 부디 훈훈한 마음으로 읽어주셨으면 한다.
이번호에는 가벼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장영엽 편집장] 2020년, 다채로운 논쟁의 해가 되길
-
록은 새로운 세대의 귀로 들어도 여전히 쿨하고 섹시한 장르일까? 아이돌 그룹 원 디렉션 출신의 해리 스타일스는 최근 빌보드 1위를 기록한 화제작 <Fine Line>에서 1960, 70년대의 클래식 록으로 돌아갔다. 물론 지금 감성의 팝에 재료로 활용한 정도지만 1994년생인 그가 동료들이 알앤비로 향할 때 록과 밴드 사운드를 시도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스타일스는 솔로 1집부터 이런 경향을 내비쳤다. 흔히 아이돌 이미지와 결별하는 성인식으로 제일 앞선 힙스터 장르를 들고 나오지만 스타일스는 역으로 1970년대 싱어송라이터, 포크, 록으로 앨범을 채웠다. 어떤 곡에선 컨트리 분위기도 났다. 그렇게 만들어진 《Sign of the Times》는 아이돌에 관심 없는 록/팝 취향의 윗세대까지 그를 진지하게 주목하도록 만들었다. 이번 앨범에서도 그 기조는 그대로 이어진다. 더 흥미로운 것은 스타일스가 단순히 록의 사운드만 취해오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는 인터뷰에서 데이비드 보위의
[마감인간의 music] 해리 스타일스 <Fine Line>, 록스타가 된 아이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