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지방대 강사로 일하는 설영에게 어느 날 ‘셜록’의 메시지가 도착한다. 셜록은 6년8개월 전 연락이 끊긴 친구다. “죽은 아버지. 아니, 죽은 마녀. (중략) 도둑신부와 원본 없는 세상. 1948년, 1963년, 다시 2016년, 2017년.” 셜록으로 불렸던 친구는 탐정소설 마니아답게 알쏭달쏭한 문장과 마릴린 먼로의 사진을 보내온다. 한편 강남에서 성형외과의로 일하는 연정은 가끔 죽은 딸 도영의 환영을 본다. 성범죄로 목숨을 잃은 도영은 탐정소설을 좋아했다. 설영과 연정은 관계없는 사람처럼 보이지만, ‘셜록’이라는 교차점에서 만나게 된다.
셜록이 설영과 함께 연구했던 논문 주제는 ‘배제된 여성문학, 빨치산 문학’이었고 이들은 취재차 일본에서 한 할머니를 만난 적이 있다. 빨치산들과 생활했던 할머니는 당시 기억을 미래의 여자들에게 덤덤히 들려준다. 빨치산과 남한 경찰에게 성폭력을 당하고 사랑하는 이의 손을 놓고 떠나야만 했던 이야기를. <나를 마릴린 먼로라고 하자>
씨네21 추천 도서 - <나를 마릴린 먼로라고 하자>
-
김지연 소설집 <마음에 없는 소리>에는 9편의 소설이 실려 있다. 주인공은 각기 다른 인물들이지만 어쩐지 한 사람이 1인칭 시점에서 하는 말처럼 읽히기도 한다. 몰개성하단 것이 아니라 그들 모두 내가 익히 잘 아는 사람 같다. 때로 그것은 소설 속 인물이 하는 말이 아니라 언젠가 써놓은 내 일기장 속 문장 같기도 하다. 김지연 소설의 여자들은 살기 위해 모멸감을 참다가도 대뜸 상대에게 화를 내기도 하고, 연약한 것 같아도 강인하고, 자신이 뭘 원하는지 모르겠다지만 실은 자기 욕망을 관철하기 위해 능동적이다. 가족의 기대를 배반하며 이룬 것도 없이 고향으로 돌아오고, 계획도 비전도 없는 자신을 혐오하는 것 같아도 마지막 문장을 닫을 때면 그가 누구보다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느껴진다.
배경 도시나 인물의 이름이 겹치지 않아도 소설들이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는 9개의 스핀오프처럼 읽힌 이유는 그 세계가 현재 시점의 대한민국이라서다. 거기 사는 여자들은 매일 무신경한 말에 노출
씨네21 추천 도서 - <마음에 없는 소리>
-
리커버와 새 번역으로 선을 보이는 에세이와 소설, 처음 선보이는 타이완 작가의 추리소설, 한국 소설가들의 ‘지금, 여기’를 담아내는 이야기를 고르게 소개한다.
씨네21 추천도서 - <씨네21>이 추천하는 3월의 책
-
나는 투명인간이 된 것 같다. 세대와 성별을 가름해 서로를 증오하도록 부추기는 일부 정치인의 의제를 마주할 때마다 내 존재가 지워진 것 같다. 변화가 오고 있다. “나빠지는 것도 변화는 변화니까.” <우리가 다시 만날 세계>의 주인공 채진리는 1990년생 고등학생이다. 어느 날 진리는 쿵 소리와 함께 뒤틀린 세상을 마주한다. 학교의 교사와 남자애들은 같은 반 여자애들을 기억하지 못하고 존재를 부정한다. 우리 학교에 너 같은 애는 없었어. 집단 기억상실에라도 걸린 듯 학교는 남자 고등학교로 명패를 바꾸고 여자애들은 세상에서 지워진다. 남에게 못된 말을 할 줄 모르던 남자 친구 훈우는 다른 사람이 된 듯 “소수의 의견 따윈 무시해도 된다”며 못되게 군다. 진리의 절친 해라 역시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진다. 해라의 집을 찾아가도 “우리 집에 딸은 없다”라는 대답만 돌아온다. 학교는 여자애들을 기억하는 ‘우리’와 잊어버린 ‘쟤들’, 두 세계로 나뉜다. 여자애들을 부정하는 쟤들은 말
<씨네21> 추천도서 - <우리가 다시 만날 세계>
-
-
나와 정반대라 동경하지만, 또 그래서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싶은 친구가 있다. 나도 저 애처럼 감정에 솔직할 수 있었으면, 능숙한 언변으로 좌중의 주목을 받을 수 있다면, 모두에게 사랑받으면서도 모두를 비판할 수 있는 용기가 있다면. 마음에 안 드는 일이 있으면 정면에 대고 불평을 말할 수 있었으면…. 나는 그가 부러우면서도 한편 부끄럽기도 하다. 그는 경박하게 주변 여성들의 외모를 평가하고, 몇명과는 사귀었다가 차였으며 자신의 심술궂은 천박함을 과시적으로 드러낸다. 튀니지인이자 무슬림이면서 이방인이라는 자아를 당당히 드러내고, 끝없이 미국에 대한 증오를 떠들어대는 이 친구의 이름은 칼라지다.
칼라지와 깊은 관계를 맺던 시절, 나는 하버드에서 박사과정을 밟던 미래가 불안한 학생이었다. 시험에 두번이나 떨어졌고 박사 학위를 딸 수 있을지도 불확실했다. 이집트 출신의 유대인이라는 처지와 빈곤, 이곳에서 누구와 어떤 관계를 맺어도 결국은 이방인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는 감각은 나를
<씨네21> 추천도서 - <하버드 스퀘어>
-
고전이라고 불리는 작품들을 접할 때, 우리는 자주 놀란다. 작품이 던지는 질문이 오랜 시간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유효함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트릭이 하나 있는데, 그 질문들은 누구도 살아 있는 한 대답할 수 없는 것들이라는 사실이다. “우리는 왜 사는가?”와 같은 질문 말이다.
레프 톨스토이가 <참회록>을 쓰던 1880년 즈음은 그가 50살을 갓 넘겼을 때였다.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를 써 이미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어느 날부터인가 답할 수 없는 존재론적인 질문들이 그를 떠나지 않았다. <참회록>에 따르면 젊은 날 톨스토이는 자기 자신을 지적으로 완성하기 위해 생활에서 마주치는 모든 것을 배우고자 했다. 그 목적은 도덕적 완성이었지만, 그것은 곧 일반적인 완성에 대한 욕망으로, “즉 자신과 신 앞에서가 아니라 남들 앞에서 더 훌륭한 사람이 되려는 욕망으로 바뀌어버렸다. 남들 앞에서 더 훌륭한 사람이 되려는 욕망은
<씨네21> 추천도서 - <참회록>
-
손원평 작가의 <타인의 집>이 새 표지로 선을 보인다. 집값이 비싼 시대, 집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따라 인간관계도 변한다. 이별을 눈앞에 두고 냉랭한 상태였던 어느 부부는 핀란드에서 어렵게 찾아온 에어비앤비 손님을 집에 들이면서 상처를 되짚어보게 된다(<사월의 눈>). 사이가 나빠도 꾹 참으며 창의적으로 돈을 아끼는 공동 공간도 있다. ‘나’가 면접까지 보며 어렵게 월세로 들어온 아파트는, 전세로 집을 빌린 사람이 세명의 월 세입자를 따로 받고 있다. 원래 집주인 눈만 속이면 전세 임차인은 월세로 돈을 벌고, 월세 임차인은 싼값에 역세권 아파트에서 살 수 있는 괜찮은 구조다. 생활방식이 다르고 화장실 문제가 겹쳐 세입자끼리 불편한 관계가 문제이긴 하지만, 볕 잘 드는 공간에서 느긋하게 임동혁의 피아노 연주를 듣는 호사를 잠시나마 누릴 수 있다(<타인의 집>). 한편 미래의 집은 어떨까. <아리아드네 정원>은 노인 인구가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씨네21> 추천도서 - <타인의 집>
-
‘철수’라는 평범한 이름으로 굳이 개명한 남자가 있다. 원래 이름은 김슬기였고, 소주 한팩을 원샷한 다음 집에 있던 아빠를 따로 불러내어 커밍아웃했지만, 어릴 때부터 돌봐주던 할머니에게는 아무 얘기도 하지 않았다. 아침부터 밤까지 풀숲을 돌아다니며 놀던 평화로운 소년의 세계는, 게이라는 정체성을 깨닫는 순간 균열이 일어났다. 여자를 좋아하기 위해 억지로 노력하기도 했고, 같은 반 남자를 짝사랑하며 괴로워했다. 어쩌면 게이라는 핑계를 대고 직장-결혼-자식으로 이어지는 소위 ‘정상적인’ 삶에서 일찌감치 달아난 것은 아닌지 스스로 의심했다. 25살에 고깃집 서빙 직원 생활을 그만두고 영화배우가 되자고, 집을 떠나 서울 은평구에 옥탑방을 구했다. 삐걱대는 삶을 대체 왜 계속 살아야 하나 고민할 때 고양이가 새로운 가족으로 왔다. 그렇게 그는 새로운 가족과 함께 일상의 모습을 담아 올리는 유튜버가 되었다.
구독자 약 20만명의 채널 김철수. 영상 속에는 밥을 먹기 바쁜 고양이도 있고, 평
<씨네21> 추천도서 - <보통 남자 김철수>
-
기술은 예술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영화는 그 탄생부터 기술의 예술이라고 할 정도로, 뛰어난 창작자와 그 시대의 새로운 기술이 결정적 도약의 순간들을 만들어냈다. 음악은 어떨까. 145년의 오디오 역사를 다룬 기디언 슈워츠의 <Hi-Fi 오디오·라이프·디자인>에서 1950년대 재즈 신을 말하는 대목을 보자. “1950년대는 재즈 신이 절정에 달했던 시절이다. 당시 재즈 아티스트들의 재능은 깜짝 놀랄 만한 수준이었다. 이 재즈 천재들은 높은 수준의 공학 기술이 담긴 45회전 LP음반이 없었다면 이내 잊혔을 것이다.” 이 시대 최고의 레코딩 기술자 중 한 사람인 루디 반 겔더가 만든 음색은 ‘반 겔더 사운드’ , (유명한 재즈 레이블 이름을 딴) ‘블루 노트 사운드’라 불리며 명성을 떨쳤다. 존 콜트레인의 《블루 트레인》과 《러브 슈프림》, 마일스 데이비스의 《마일즈》, 텔로니어스 멍크의 《멍크》 등이 그의 손에서 만들어졌다. 1950년대의 오디오가 하이엔드 절대 왕정이었
<씨네21> 추천도서 -
-
설 연휴도 끝났고 입춘도 지났다. 겨울이 끝나고 봄이 기지개를 켜는 시점. 독서 목록에 추가할 6권의 책을 여기 소개한다.
씨네21 추천도서 - <씨네21>이 추천하는 2월의 책
-
‘목소리’는 개성 혹은 개인의 의지를 상징하는 단어로 쓰이곤 한다. 정치인은 국민의 목소리를 듣겠다고 하고, 시위에 나선 이들은 자신들의 목소리가 세상에 들리게 하겠다고 한다. 마치 모두가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목소리 순례>를 쓴 사진가 사이토 하루미치는 선천적인 감음성 난청이다. 그는 유독 자주 혼나는 ㅅ발음을 피하려고 ㅅ이 들어간 단어를 기피했다. “깨끗한 ‘목소리’를 내려고 노력할수록 내 생각과 동떨어진 말이 나갔다. 내가 분열되어갔다.” 청인들이 다니는 학교에 다니던 그는 농학교로 진학하면서 수어를 배우게 되었고, 수화를 통해 자신의 ‘목소리’로 소통할 수 있었다고 회고한다. 청인들 사이에서 자신의 발음이 어떻게 들릴지만을 신경 쓰던 시기의 기억이 마치 타인의 기억 같다면 수어를 사용하는 친구들 사이에서 보낸 고등학교 시절의 기억은 ‘나’의 일부로 선명하게 맥동한다는 것이다.
사이토 하루미치는 ‘언어’와 ‘무용’이 융합하는 경계에서 수화의 아
목소리 체험하기 <목소리 순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