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INTERVIEW
[인터뷰] ‘드림팰리스’ 가성문 감독, “사회적 문제를 개인의 탓으로 돌려선 안 된다”
이우빈 사진 백종헌 2023-06-01

혜정(김선영)은 몇년 전에 산업재해로 남편을 잃었다. 그녀는 이러한 아픔을 잊고 새 삶을 꾸리고자 남편의 사망 보상금으로 고급 아파트 드림팰리스에 입주한다. 그러나 번쩍이는 외관과 달리 아파트 속은 엉망진창이다. 혜정의 집에선 녹물이 쏟아지고 입주민들은 미분양 사태에 분노하며 분양사와 대립 중이다. 더군다나 남편의 죽음 당시 갈등을 겪었던 다른 유가족들이 자꾸 혜정의 삶에 개입한다. 특히 유가족 중 각별한 사이였던 수인(이윤지)과의 관계는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다. 이처럼 <드림팰리스>는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 속에서 앓아가는 개인들의 비극을 드러낸다. 비극은 하나로 끝나지 않고 계속 연결되어 고통을 배가한다. 가성문 감독은 자신의 첫 장편 <드림팰리스>를 통해 리얼리즘 영화의 계보를 이어 한국 사회의 여러 치부를 드러내고자 한다.

- 2009년 힙합 장르의 앨범 《이름 없는 MC》를 발표한 가수이기도 하다. 가사를 보면 <드림팰리스>의 내용처럼 사회 비판적인 주제가 담겨 있다.

= 예전부터 사회의 주류가 아닌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았다. 사회 시스템을 지배하는 주류의 입장 말고 비주류의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싶었다. 그런 마음을 지금은 영화에 담고 있고 예전엔 음악으로 표현했던 것 같다.

- <드림팰리스>는 2010년경 일어난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 아파트 미분양 사태를 둘러싸고 기존 입주자들이 신규 입주자의 입주를 저지한 사건이다. 이런 소재에 어떻게 살을 붙여 나갔나.

= 해당 사건을 처음 접했을 때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아파트 이웃이면 같이 엘리베이터도 타고, 같은 물을 마시고, 자식이 같은 학교에 다니면 가족끼리 친구가 될 수도 있지 않나. 처음엔 이웃끼리 저렇게까지 한다니 참 비정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점차 저 평범해 보이는 사람들이 왜 저런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을지를 고민하게 됐다. 결국엔 우리 사회가 그들을 비정함의 궁지로 내민 것 같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근본적 원인은 아파트 매물을 과잉 공급한 업자나 부동산 정책에 있는데 입주자들의 잘잘못으로 사건이 왜곡됐다고 느꼈다. 우리 사회 곳곳에서 일어난 재난을 봐도 마찬가지다. 사건의 본질과 진상은 흐린 채 피해자들의 도덕성을 과하게 지적한다거나 비리가 있다는 식으로 비난하지 않나.

- “이웃끼리 같은 물을 마신다”라는 표현이 흥미롭다. 혜정이 처음 이웃들과 갈등하는 계기도 혜정 집의 녹물 문제를 공개하면 아파트 값이 떨어진다는 문제였지 않나.

= 녹물은 혜정의 과거를 상징하기도 한다. 혜정은 과거 산업재해로 남편을 잃고 다른 유가족들과 갈등했던 과거에서 최대한 벗어나려는 인물이다. 그렇기에 새로운 아파트로 이사해서 새 삶을 살아보려는 거다. 그런데 자꾸 녹물이 흘러나와 삶을 방해한다. 혜정의 삶에 끊임없이 틈입하는 과거처럼. 더군다나 녹물로 인해 새로운 갈등에 휘말리기까지 한다.

- 방금 언급했듯 부동산 문제뿐 아니라 산재 보상에 얽힌 유가족들의 비극까지 다루고 있다. 다수의 사회문제를 엮은 이유는 뭔가.

= 이런 사회적 문제들의 외연이 다소 다르더라도 그 내부를 관통하는 핵심은 비슷하다고 느꼈다. 한국 사회에서 분명 큰 난점이고 제대로 해결해야 할 사안들이다. 그런데 해당 문제에 얽힌 여러 의견 충돌을 사회가 방치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많은 사람의 삶, 감정, 처지가 복잡하게 얽히고설켜 있는데 그걸 특정한 한 개인의 탓으로 돌린다. 단순하게 공론화되는 개인의 삶이 사실 얼마나 복잡한지, 우리 사회가 그들을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싶었다.

-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시각과 인물을 다루는 방식이 비슷하다. <드림팰리스>의 혜정과 수인은 선인, 악인이라고 규명하기 힘든 입체적인 인물이다.

= 사회든 인간이든 불완전하다고 느낀다. 완전한 선과 악이 있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드림팰리스>의 주연들도 이기심과 죄책감 사이에서 끝없이 갈등하는 이들로 구현하고 싶었다. 주연들뿐 아니라 산업재해 유가족, 아파트 입주민 등 조연들의 성격도 최대한 입체적으로 만들려고 노력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의 릴리 프랭키처럼 왠지 나빠 보이면서도 종종 의외의 모습을 드러내는 인물들로 그리고 싶었다. 그래서 조연들의 구체적인 전사를 작성해서 배우들과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입주민 대표 인모 역의 김용준 배우에겐 인모가 과거에 교사였는데 회식 자리에서 불미스러운 일에 연루되어 해고됐고, 재혼 가정을 꾸려 자녀 부양 책무를 강하게 느끼고 있다는 이야기를 전하는 식이었다.

- 입체적이고 복합적인 성격의 인물을 구현하기 위해 김선영, 이윤지 배우와 어떤 이야기를 나눴나.

= 영화가 현재 시점으로 진행되지만 혜정과 수인에겐 산업재해에 얽힌 기나긴 전사가 있다. 그러니 혜정과 수인이 마주해서 대화할 땐 말 한마디 한마디에 과거의 무게가 실리길 바랐다. 그들의 눈빛만 봐도 관객이 그들의 아픈 사연을 감정적으로 느끼게 하고 싶었다. 쉬운 일은 아니다. 산업재해 이야기는 작품의 효과적인 플롯 진행을 위해 축약돼 있으니까. 러닝타임 외에 혜정, 수인에게 일어난 사건과 둘의 감정에 대해서도 배우들과 최대한 많은 논의를 거쳤다.

- 전작인 단편영화 <누렁이들>에선 동물권 문제를 다뤘다. 사회적 문제들에 꾸준히 천착해오고 있는데 영화를 통해 사회를 바꾸고 싶다거나 하는 목적이 있을까.

= 영화로 사회를 완전히 바꾼다거나 하는 목표까진 없다. 내가 정치인은 아니니까. 우리 사회의 그늘을 포착해서 보여주고 싶다는 생각까지다. 비토리오 데 시카의 <자전거 도둑>처럼 현실을 제대로 직시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는 작품을 만들고 싶다. 교조적인 태도로 특정 메시지를 강요하고 싶지는 않다. 현실의 이런 문제를 해결하냐 마냐의 영역은 영화를 본 관객에게 달린 것 같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