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2
'복지식당' 정재익 감독, 서태수 감독을 만나다
김소미 사진 최성열 2022-04-21

더 많은 장애인들이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정재익, 서태수(왼쪽부터)

- 제주도민인 두 감독이 장애인 영화제작 워크숍을 통해 만나 성사된 영화다. 강사인 서태수 감독이 참가자인 정재익 감독이 쓴 여러 장의 수필을 읽은 것이 계기였다고.

정재익 어머니가 위독하셔서 병원에 가야 하는데 5급 판정을 받은 내가 지원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없었다. 장애인 기관과 단체에 호소도 해보고 결국 청와대 신문고에까지 글을 썼지만 답변은 부실했다. 오랫동안 너무나 화가 쌓인 상태였고, 그 이야기를 썼다.

서태수 정재익 감독이 그렇게 힘들어하던 상황에서 한 친구가 장애인영화제작 워크숍 상영회에 초대를 한 것이다. 그때 정재익 감독이 워크숍 1기 수료를 마친 분들의 영화를 보고 놀랐던 것 같다.

정재익 그 친구는 나보다 상태가 더 안 좋은데 영화를 만들었더라. 나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웃음)

서태수 이후로 정재익 감독님이 아주 적극적으로 내게 제작 의지를 어필하셨다.

정재익 무조건 덤벼보자는 마음이었다. 1년 동안 집에만 있다가 나온 터였다. (서태수 정 감독님의 등급으로는 전동휠체어를 제공받을 수 없었고 사비로 구매하기엔 너무 비쌌다. 그러다 전동휠체어 대여 서비스를 알게 되어 바깥 출입이 가능해졌다.) 집 밖에 나갈 수 있게 되면서 여러 사람들과 만났고, 워크숍에 가서 영화도 만들 수 있게 된 거다.

정재익

- 처음에 스승과 제자로 만났는데 지금의 두 사람은 무척 격식 없고 돈독해 보인다.

서태수 힘든 과정을 함께했으니까. 워크숍 수강생으로 만났지만 사실 정재익 감독이 나보다 한살 형이다.

정재익 장애인 나이로는 아직 12살이라니까! (웃음)

서태수 그래서 손이 참 많이 가! (웃음) 작업을 하다보니 나와 정재익 감독의 가족끼리 가까워진 것도 큰 역할을 했다. 우리 아이들도 정재익 감독과 친하게 지낸다.

- 강력한 안타고니스트로서 장애인 사회 내부에 군림하는 병호 캐릭터를 묘사하기까지 처음엔 두 감독간에 의견 차이도 있었을 법하다.

정재익 처음엔 강하게 반대했다. 나는 장애 당사자로서 평생 장애인 사회에서 그들과 부대끼며 살아가야 하니까 비장애인인 서태수 감독보다 훨씬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말했었다.

서태수 시나리오를 완성할 때 정재익 감독과 핑퐁하듯 주고받으며 썼다. 처음 장애 등급 심사받을 때부터 5급 판정을 받고 겪은 어려움들, 이의 신청 후 행정심판 과정 등을 쭉 정리해주셨는데 유독 장애인 커뮤니티 내부에서 겪은 피해에 대해서는 축소해 썼더라. 장애인 영화제작 워크숍을 3년 정도 진행하면서 직접 목격한 것들도 있고 해서 그냥 지나치기가 어려웠다. 정재익 감독이 느끼는 두려움, 그리고 비장애인이 장애인 사회 내부를 고발할 자격이 있는가 하는 고민이 물론 컸다. 결과적으로는 정재익 감독이 용기를 낸 것이다.

정재익 나는 비장애인, 장애인 둘 다 해본 사람 아닌가. 비교하자면 장애인들에겐 일자리, 밥벌이가 너무 중요하니까 권력층이 이걸 더 꽉 잡고 놔주질 않는다. 나처럼 말을 잘 못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는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

서태수 정재익 감독은 사고로 인해 신경을 다친 후유증으로 언어 장애가 왔는데 이 부분이 장애로 인정되지 않았다.

- 단체나 집단으로 묘사하지 않고 병호라는 개인의 캐릭터성을 강화한 이유가 있나.

서태수 병호 캐릭터를 빌드업할 때 고민하지 않은 것은 아닌데 자칫 정치적으로 이용될 우려가 있다고 봤다. 병호는 장애인 사회에 있어서는 안될 존재가 상징적으로 다 결합한 캐릭터다. 사촌누나 은주 캐릭터는 장애인 가족의 힘겨움을 대변하는 인물, 봉수는 당사자로서 커뮤니티 내에서 살아남기 위해 처세할 수밖에 없는 인물로 그렸다.

- 재기가 어머니가 물려준 이층집 앞에 있을 때 틈입하는 몽환적인 순간들이 있다. 재기가 일어나서 걷거나 어머니가 등장하는 장면이다.

정재익 나는 아직도 꿈속에서는 걸어다닌다. 그걸 담고 싶었다.

서태수 재기는 장애인으로서는 처음 태어난 상황이나 다름없다. 그래서 더욱 어머니가 많이 떠오를 것 같았다.

- 제목이 왜 ‘복지식당’일까. 영화에 등장하는 식당은 실제 로케이션인가.정재익 내가 자주 가는 곳이다.

서태수 과연 이곳이 복지국가인지 대주제를 질문하고 싶었는데 제목을 ‘복지국가’라고 하기엔 너무 거창하지 않나. 친근한 작명을 고민하다가 재기가 늘 식사를 해결하고 또 여러 사람을 만나는 식당 공간에 주목했다. 일상의 중심인 그곳에서 벌어져선 안될 일들이 벌어진다. 대한민국 사회의 축소판이라 생각했다.

서태수

- 영화 촬영은 이동을 많이 필요로 하는 일인데 장애인콜택시를 시간 맞춰 이용하기 쉽지 않았을 듯하다.

서태수 이동 문제는 일상이었다. 장애인, 비장애인이 5:5 정도 비율로 섞여 만든 영화인데, 회차를 조금 넉넉히 잡았지만 생각보다 이동의 어려움을 크게 느꼈다.

정재익 정말 고마운 건 배우와 스탭들이 단 한번도 싫은 소리를 하지 않고 기다려준 것이다. 내가 항상 마지막에 도착하는 게 당연해진 현장이었다.

- 제주도의 장콜 운영 상황은 어떤가.

서태수 평일 주간은 배차 시간이 짧은데 영화는 야간 촬영도 있고 하다보니 예정 시간보다 최소 30분, 보통 1시간 기다리는 게 예사였다.

정재익 내 주변 장애인들은 이렇게 말한다. “장콜이 언제 올진 아무도 몰라.” 10분 뒤에 도착한다는 메시지 받고 2시간 기다릴 수도 있는 거다.

서태수 영화제작 워크숍을 처음 시작했을 때 놀란 풍경이 있다. 뒤풀이 회식 자리에 갔는데, 다들 식당에 앉자마자 일단 장콜부터 불렀다. 워낙 오래 기다려야 하니까 식당에 앉자마자 일단 콜택시를 미리 불러놓는 건데, 그래서 어떤 사람은 생각보다 차가 일찍 잡혀서 술 한잔 마시기도 전에 집에 가기도 했다. (정재익 하하하) 취소하면 또 한참 기다려야 하니까.

- 장애인 권리 투쟁이 어느 때보다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복지식당>이 관객에게 어떤 목소리로 가닿았으면 하나.

정재익 어제 어떤 카페 지하에서 인터뷰를 했다. 내가 계단을 어렵게 내려가는 모습을 보고 기자님이 그제야 그곳이 내게 불편한 장소임을 알게 됐다고 한다. 아까 서태수 감독이 나보고 농담으로 ‘손이 많이 간다’고 하지 않았나. 나는 사람들이 그 생각을 해주었으면 한다. 왜 손이 많이 가는지, 저 사람은 이동하는 데 왜 이리 오래 걸리고, 늘 늦게 도착하는지. 그런 사소한 생각 하나하나가 모이길 바란다. 처음 한번이 어렵고 두 번째는 조금 쉬워지지 않을까.

서태수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만든 영화인 만큼 양쪽 모두에게 의미 있기를 바란다. <복지식당>을 본 관객이 장콜이 무엇인지 알게 되고, 길에서 교통약자서비스차량이 보이면 ‘아, 저거구나’ 하고 인식하게 되길, 그런 인식이 모여서 더 많은 장애인들이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는 장치들이 개선되었으면 한다. 아주 다양한 방식이 있을 것이고 지금의 관심은 시작에 불과하다.

정재익, 서태수(왼쪽부터)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