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 나서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고, 아주 미칠 지경이에요. 어쩜 그럴 수가 있을까.” 한달 전, 그녀의 얼굴엔 화색이 돌았다. 이런 작은 승리라도 끝내 얻으니 보람을 느낀다고도 말했다. 노조탄압, 문자해고, 깡패동원, 임금체불, 야반도주 등 ‘악질자본 대백과사전’의 집필자가 되어도 좋을 법한 최동열 전 기륭전자 회장이 법정에서 징역 1년을 선고받고 구속된 뒤였다.
“우리는 죽는 것 빼곤 안 해본 게 없어요.” 실로 그랬다. 기륭전자 노동자들은 비록 소수고 대부분 여성이었으나, 그들의 복직투쟁은 한국 노동운동사에 기록될 만큼 처절하고도 강인했으며 끈질겼다. 피골이 상접할 지경까지 갔던 목숨 건 단식투쟁, 위험천만했던 고공농성, 한겨울 오체투지 등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눈이 시린 고통의 투쟁을 한 고비 또 한 고비 넘어온 사람들이었다. 많은 이들의 응원과 정치권까지 나선 협상으로 2010년 ‘사회적 타결’을 이뤄냈지만 최 회장의 약속은 거짓이었다. 복직 노동자들은 회사 안에서 꿔다놓은 보릿자루마냥 무시당했다. 임금이 체불되더니 급기야 노동자들을 팽개쳐둔 야반도주가 자행되었다. 해고노동자 유흥희는 최 회장의 집을 찾아가 ‘초인종을 누른 죄’로 법정에 서야 했다. 벌금형을 받아들이기엔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아 감옥에서 노역형을 살고 나온 게 지난해 일이다. 법은 늘 자본의 편이었다. 허나 해도 해도 너무했다고 판단한 것일까. 바뀐 권력의 지도가 반영된 까닭일까. 2017년 10월의 법정은 최 회장에게 징역형을 선고했다.
작지만 소중한 승리였다. 우리 집 마당에 모여 한끼 밥을 나누며 가을 수다를 즐기려던 친구들의 모임은 ‘기륭투쟁 간신히 승리 겸 미꾸라지 자본 위로대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통통한 가을 미꾸라지를 사다가 추어탕을 끓였다. 즐거운 하루였다.
회장이 구속 16일 만에 보석으로 풀려났다는 사실을 안 건 11월이 넘어서였다. 그는 법원에 공탁금을 걸었다. 노동자들이 배상을 거절하고 연락도 닿지 않는다는 핑계였다. 밝았던 유흥희의 얼굴엔 분노가 서렸다. 그녀의 활동은 규칙적이었다. 전화기는 늘 열려 있었다. 최동열에게 노동자는 예나 지금이나 투명인간인가. 공상소설 속 투명인간은 뭐든 저지를 수 있는 욕망과 공포의 존재인데, 최 회장의 투명인간은 왜 ‘없어도 좋은 존재’이기만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