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Report > 씨네스코프
소년은 어떻게 도둑이 되었나, <도둑소년> 촬영현장
김수경 사진 이혜정 2006-06-05

코닥 단편영화 제작지원작 <도둑소년> 촬영현장

교복을 입은 소년의 등에 땀이 밴다. 서늘한 복도와 달리 창문을 꼭꼭 닫은 교실 안은 조명이 쨍하게 내리쬐는 한여름이다. 방학 같은 한적한 일요일, 경기도 구리시 동구동 인창중학교 2학년 7반 교실에서는 이스트만 코닥 지원작 <도둑소년>이 촬영 중이다. “병준이 나왔다.” 출연을 기다리는 중학생 민철과 정일은 모니터에 잡힌 병준을 보며 키득거린다. 주인공 도둑소년 역의 조유한을 제외하면, 모든 배우는 인창중학교 학생이라 교실 안팎을 드나드는 아이들의 발걸음에 망설임이 없다. 이날 촬영은 내용상으로는 첫 장면, 촬영 스케줄로는 마지막이다. 유한의 짝으로 출연한 원성효가 영어 교과서의 삽화에 낙서하며 유한의 눈자위의 동그란 점을 놀리는 장면. 바특한 시간에 쫓기는 현장 상황에도 불구하고 민용근 감독은 나지막이 상세하고 친절하게 소년들에게 연기를 지도한다. 민 감독이 “다시”라고 말할 때마다 촬영을 기다리는 학생들이 땅이 꺼지도록 한숨을 쉰다. 책상에 나란히 앉은 유한과 성효의 위치를 조정하는 데 꽤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너희들, 컷한 뒤에 너무 많이 움직인다. 클로즈업이라 조금만 움직여도 차이가 많이 나니까 각자 위치를 정확히 기억해줘”라고 민 감독이 청한다. 나희석 촬영기사가 “클로즈업이 90%가 넘는다. 컷과 컷 사이의 공간감이 모호해서 주인공의 감정 변화가 가장 중요한 영화”라고 설명한다.

누군가 성효에게 “촬영 중에는 껌씹는 거 아니야”라고 한마디한다. 곧바로 성효가 껌을 꿀꺽 삼켜버리는 바람에 스탭들의 웃음보가 터진다. 스탭이라고 해야 모두 15명. 창문 너머 해가 저무는 운동장에서 공을 차는 사람들보다 간소한 인원이 움직이는 현장이다. 민용근 감독의 <도둑소년>은 죽은 엄마와 함께 살던 소년의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 민 감독이 TV다큐멘터리 PD로 오랫동안 일했던 이력이 작용한 결과일 터. 신문기사에서 발견한 “무표정한 소년의 얼굴”을 제외한 모든 것은 민 감독의 상상력으로 새롭게 채워졌다. 충격적인 사건보다는 소년의 도벽을 중심으로 일상을 담담하게 비추는 <도둑소년>은 6회차로 촬영을 마쳤고, 부산영화제에서 상영될 예정이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