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Report > 기획리포트
[인터뷰] <마스터 앤드 커맨더>의 피터 위어 감독
김혜리 2003-11-04

“원작과 러셀 크로만으로도 절반의 성공”

<트루먼 쇼> 이후 5년 만이다. 새 영화를 고르는 데 왜 그렇게 오랜 시간이 걸렸나.

실제보다 더 길게 느껴질 거다. 할리우드에 있다보면 영화사쪽에서 들어오는 시나리오들이 너무나 형편없다는 사실에 좌절하게 된다. <트루먼 쇼> 이후 시시한 각본들에 질려 있는데 패트릭 오브라이언의 소설 <마스터 앤드 커맨더> 시리즈가 구원이 됐다. 마침 <트루먼 쇼>의 제작사 파라마운트가 내게 선물로 뭘 원하냐기에 <마스터 앤드 커맨더> 시리즈의 하드 커버 초판본을 청해 받았다. 폭스로부터 연출 제의를 받은 것은 2000년 중반이니 그때부터 계속 <마스터 앤드 커맨더>에 매달린 셈이다.

크로는 당신이 연출한다는 사실이 <마스터 앤드 커맨더>에 출연한 결정적 이유였다고 말했다. 러셀 크로를 잭 오브리 선장 역에 캐스팅함으로써 얻은 효과는.

캐스팅이 끝나면 일의 절반은 끝난 셈이라고 생각한다. 더구나 러셀 크로 같은 배우에다 20권이나 되는 원작이 있다면 더더욱 그렇다. 크로의 캐스팅은 영화에 예측 불능의 긴장감을 불어넣는다. 세트에서 연기연출받는 일에 과민한 배우들도 있다. 촬영 들어가기 전 러셀 크로와 미리 어떻게 찍을지 의논하고 선장으로서 받아야 할 훈련도 미리 했기에 크랭크인하는 날 크로는 완전한 잭 오브리 선장이 되어 세트에 입장할 수 있었다.

전쟁의 액션과 두 남자의 특별한 우정을 아울렀다는 점에서 당신의 옛 영화 <갈리폴리>와 비슷하다. 비슷한 테마에 이번에는 어떻게 접근했나.

<갈리폴리>는 비극이지만 <마스터 앤드 커맨더>는 아니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다. 한 친구의 죽음을 초래한 <갈리폴리>의 전투는 삶의 무가치한 낭비일 뿐이다. 역으로 <마스터 앤드 커맨더>는 주요 캐릭터의 죽음없이 깊이있는 결말을 만들어야 했기에 더욱 까다로웠다.

과거의 전쟁을 그렸는데, 현 국제정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불행한 전쟁으로부터 마음을 돌릴 수 있는 일이 내게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고마운지 모른다. 불운한 시대다. 멕시코 바하 스튜디오에서 과거의 해전을 파김치가 되도록 찍고 TV를 켜면 이라크에서 탱크가 구르고 있었다. 마치 인간 본성의 일부인 것처럼 전쟁은 계속되고 있다.

속편을 암시하는 마지막 장면은 스튜디오 의견이 개입된 결과인가.

항해의 계속을 묘사한 라스트신은, 그 자체가 시리즈물인 원작에 충실한 것이며 19세기 해군들의 실제 삶과도 일치한다. 그들은 동료를 잃거나 불구가 되는 비극도 ‘세상의 끝’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잠시 애도와 비애에 젖은 뒤 계속되는 생의 파도에 몸을 실었다. 그저 술 마시고 웃으며 적선을 나포하면 얼마나 돈을 벌게 될지를 헤아렸다.

<마스터 앤드 커맨더>의 속편 연출을 제의받는다면.

속편을 해본 적도 없거니와 이번 영화에서 보여주고 싶은 걸 다 했다. <대부>나 <반지의 제왕> 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속편은 1편만큼 흥미롭지 않다. <에이리언>도 1편을 가장 좋아한다.

오스카 캠페인에 시사 테이프를 금지했다가 독립영화 진영 반대로 철회한 최근 MPAA의 금지령을 어떻게 생각하나.

잔인한 행위였다. 위원회를 구성해서 의견을 들었어야 했다. 이제 오스카는 세계 영화산업과 관련된 행사이고 따라서 이는 비단 미국의 독립영화뿐 아니라 월드 시네마의 문제다.

적선의 국적을 미국에서 프랑스로 꼭 바꿀 필요가 있었나.

배의 국적을 바꿨다기보다 전투의 연대를 바꾼 것이다. 1805년의 전황이 극적으로 훨씬 풍요로운 소재를 갖고 있는데다가 넬슨 제독의 시대를 되살리고 싶었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