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Report > 기획리포트
2003 부산아시아 단편영화제
문석 2003-05-12

15개국 136편 상영, 최대 화두는‘실험성'

초여름 부산을 달굴 2003 부산아시아단편영화제가 5월15일부터 20일까지 경성대 콘서트홀 등과 시네마테크 부산에서 열린다. 한국영화인협회 부산 지회와 부산영상위원회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행사에는 15개국 136편의 단편영화가 상영될 예정이다. 접수된 473편 중 엄선된 작품들은 한국단편경쟁 부문 46편, 아시아 극·실험영화 부문 38편, 애니메이션 부문 28편(국내 21편, 해외 7편), 다큐멘터리 부문 9편(국내 3편, 해외 6편)이며, 특별전에서 15편이 선보일 예정이다.

올해 행사의 가장 큰 특징은 실험영화에 대한 강조다. 실험적 작품들은 한국 단편 등 여러 부문에 고르게 분포돼 있을 뿐 아니라 특별전을 통해서도 집중적으로 소개된다. 특히 올해 3월9일 사망한 미국 언더그라운드 영화계의 거장 스탠 브래키지의 작품 5편이 소개되는 프로그램인 ‘스탠 브래키지: 빛으로 쓴 시’와 60년대부터 90년대를 아우르는 10편의 실험영화 모음전 ‘프레임의 정신’은 관심을 끈다.

또 하나의 초점은 타이, 이란, 이스라엘 등 아시아 3개국의 작품들이 진기한 빛을 발한다는 것. 특히 개막작 3편을 모두 타이 감독들의 영화로 선정한 데서 알 수 있듯, 이번 행사는 아시아의 새로운 영화 맹주로 떠오르는 타이의 젊은 영화인들의 약진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한편 최우수 작품에 상금 500만원 등이 주어지는 이번 행사에서 심사위원은 오기민 마술피리 대표, 김인식 감독, 홍효숙 부산영화제 와이드앵글 프로그래머, 일본 히로시 오쿠하라 감독 등이 맡을 예정이다(문의: 051-744-1978, http://www.basff.org).

개막작

5월15일 오후 7시 경성대 콘서트홀에서 열리는 개막식 직후 상영될 2003 부산아시아단편영화제의 개막작은 젊은 타이 감독들의 작품들이다. 미국에서 영화를 공부했다는 아딧야 아사랏 감독의 <기다림>은 어린 시절 기억 속에 남아 있는 한 여인을 찾아나선 중년 남성 쿤의 쓸쓸한 여행길을 좇아가는 일종의 로드무비다. 올해 방콕영화제, 싱가포르 단편영화제 등에서 수상한 작품이기도 하다. 그의 전작 <모터사이클>은 2001년 부산아시아단편영화제에서 상영된 적도 있다. 타베봉 프라툼웡 감독의 <키작은 아빠>는 키가 작은 아버지와 그보다 성장해가는 아들의 이야기를 보여준다. 라타폴 자나라루안통 감독의 <오토바이쇼와 풍선>은 유원지에서 상연하는 오토바이쇼를 보고 싶어하는 풍선 파는 소년의 이야기다. 기술적으로나 미학적으로나 높은 경지를 보여주는 이들 영화는 타이영화의 미래가 만만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는 듯하다.

한국단편경쟁 부문

지원작 265편 중 선정된 46편은 최근 수년 사이에 단편영화의 기술과 미학의 수준이 큰 성장을 보이고 있음을 입증한다. 특히 실험영화의 강세는 김동우 감독의 <나무>, 위준석 감독의 <나쁜 여자의 최후>, 문제용 감독의 등 실험성을 표방한 영화들뿐 아니라 이나 <기억, 발꿈치를 들다> <머리에 꽃을> <빛속의 휴식> <미소의 유일성> <머리가 아프다> 등 극영화들에서도 드러난다. 이들 작품은 호러영화의 문법을 차용해 대상물을 낯설게 보이게 하거나(<기억, 발꿈치를 들다>), 제한된 공간과 반복성을 통해 주제의식을 증폭하기도 하며(<미소의 유일성>), 편집을 통해 의도적으로 내러티브를 파괴(<머리가 아프다>)하기도 한다. 신비로운 소녀와 그녀를 관찰하는 한 남성의 이야기 <시즈쿠>나 관계의 단절과 고통의 전이를 미장센을 통해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사이에 두고> 또한 실험성이 두드러진 영화들.

일상에 대한 관심도 여전하다. 대학원생 남성과 직장여성 사이의 미묘한 관계를 밀착해서 보여주는 <선재네 집에서 하룻밤>, 시부모님의 제사를 준비하는 며느리의 현실과 머릿속을 그리는 <이효종씨 가족의 저녁식사>, 앵벌이 소녀와 조깅하는 남자의 순간적 만남을 보여주는 <갈치> 등은 이런 영역에 속한다. 불법운전교습소를 배경으로 사장과 여직원의 팍팍하고 미묘한 관계를 매우 섬세하게 묘사하는 이하 감독의 은 일상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보여준다.

또 탈북자가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을 그리는 <여기가 끝이다>, 갑갑한 일상에서 탈출하기 위해 마스크를 쓰고 나타나는 한 여성의 이야기 <쥐구멍은 어디에 있나?>, 비 오는 날의 분위기를 경쾌한 리듬으로 묘사하는 도 주목할 만한 작품들이다. 배우 유지태의 ‘감독 데뷔작’ <자전거 소년> 또한 풋풋한 유년의 감성을 전달한다.

올 부산 아시아단편영화제는 개막작 3편 모두 타이 감독들의 영화로 선정됐다. 아딧야 아사랏 감독의 <기다림>과 타베퐁 프라툼웜 감독의 <키작은 아빠>, 배우 유지태의 감독 데뷔작인 <자전거소년> (맨 왼쪽부터).

아시아 극.실험영화 부문

이스라엘 마이클 페레츠 감독의 <손목시계>는 아버지의 유품인 손목시계를 잃어버린 소년의 이야기로 올해 베를린영화제에 출품되기도 했다. 이란 샤람 알리디 감독의 <끝까지 셀 수 없는 마을>은 쿠르드의 어느 산속 마을의 인구조사를 하기 위해 길을 나선 국세청 직원의 험난한 여정을 담았다. 일본 마사카주 사이토 감독의 실험영화 <햇살 한 조각>은 편집기법을 통해 일상의 새로운 경지를 보여주려는 작품. 타이 송요스 수그마카난 감독의 <나의 코끼리>는 재미난 상상력을 가진 한 소년의 깜찍한 이야기.

다큐멘터리 부문

박효진 감독의 는 아이디어가 참신한 개인적 다큐멘터리. 감독은 오래 전부터 짝사랑한 남성 ‘그’에게 인터뷰를 청하고, 그동안 묵혀뒀던 이야기를 나눈다. 카메라의 ‘힘’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라 할 만하다. 이정민 감독의 는 황신혜밴드 멤버였던 조윤석의 지방의원 출마기를 담았다. 최진성 감독의 <그들만의 월드컵 Ver.2.0>은 지난해 각광받았던 ‘버전 1.0’을 재편집한 작품이다. 월드컵에서 소외됐던 ‘대한민국’ 사람들을 보여준다.

애니메이션 부문

이성강 감독의 <오늘이>는 신화적 상상력으로 만들어진 작품. 계절의 향기와 바람이 시작되는 곳 원천강에 살던 야라는 소녀의 신비로운 이야기를 그린다. 이효정 감독이 만든 는 사진을 찍는 이와 그 대상간의 관계를 고찰하는 작품이며, 임아론 감독의 <I Love Picnic>은 북극에서 살던 백곰이 소풍을 가서 겪는 일을 그리는 3D 디지털애니메이션이다. 머리에 휴대폰을 달고 태어난 소년의 슬픈 이야기인 싱가포르 라이 제이슨 감독의 <가까이하기엔…>도 관심을 끈다.

특별프로그램

‘스탠 브래키지: 빛으로 쓴 시’에서는 새로운 시각체험을 제안하는 스탠 브래키지의 세계를 엿볼 수 있다. 대표작인 <독 스타 맨>은 필름 위에 색을 입히거나 렌즈를 왜곡해 만들어낸 이미지 등을 신비롭게 보여주며, <생명의 빛>은 카메라 없이 필름에 나방의 날개 등 다양한 물체를 콜라주한 영상이다. ‘프레임의 정신’은 실험영화계에서 유명한 피터 휴튼, 마틴 아놀드, 루이스 레코더 등의 작품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