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컬처잼 > e-윈도우
<바운스>를 통해 그려진 일본의 원조교제
2002-12-12

원조의 `원조` 는?

98년 제2회 부천국제영화에서 <바운스>를 본 것은 우연이라면 우연이었다. 한창 일본영화와 애니메이션에 빠져 있던 상황이라 <사무라이 픽션> <알렉산더> <후따리> <왕립우주군> <가미가제 택시> 같은 영화들에 집중하다가, <가미가제 택시>의 감독이 만든 또 다른 작품이라는 정보만 가지고 무작정 보았던 것.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서서히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원조교제를 다룬 작품이라는 설명을 보고는 묘한 호기심이 발동했던 것도 사실이긴 하지만 말이다. 돌이켜보면 그때까지도 원조교제란 그렇게 일본영화에서나 접할 수 있는, 아직은 낯선 현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신문이나 <시사매거진 2580> 같은 TV프로그램을 통해 한국판 원조교제에 대한 이야기가 종종 나오기는 했지만, 그건 정말 극소수의 이야기일 뿐이었다.

하지만 4년이 지난 지금, 원조교제는 그 대체 용어를 공모한 결과 ‘청소년 성매매’로 바꿔 불러야 할 정도로 일상화되고 말았다. 지난 2001년 6월에 실시된 서울지방경찰청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중고생의 약 2%가 성매매 경험이 있고, 그중 71%가 여학생들의 원조교제였다는 사실이 밝혀져 큰 파장을 불러왔을 정도. 설문조사에 진실을 숨긴 학생들이 많을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원조교제는 훨씬 많이 퍼져 있다는 심증을 가지기에 충분하다. 중고교 여학생의 21.5%가 성매매를 제안받아 봤다는 결과를 내놓은, 청소년보호위원회의 지난 7월 설문 조사는 그런 심증이 단지 심증에서 그치지 않음을 증명해준다. 원조교제를 비롯한 청소년 성매매가 전 사회적인 이슈가 되어 ‘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고, 성매매범들의 신상을 공개하기에 이른 것은 바로 그런 심각한 문제인식에서 시작된 것이다.

재미있는 것은 원조교제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일본과 우리의 원조교제가 많은 부분에서 다르다는 사실이다. 일본의 원조교제가 처음 ‘공식적으로’ 등장한 것은 90년대 초반. ‘원조’(援助)라는 말이 뜻하는 것처럼, 성인 남성들이 10대 소녀들에게 금품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그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거나 혹은 성관계를 맺는 일들이 사회적으로 문제시되면서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중요한 것은 이 일본식 원조교제는 우리의 그것과는 달리 반드시 성관계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이다. 오히려 두 사람(성인 남성과 10대 소녀)간의 상호필요에 의해 일정 기간 지속되는 관계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10대 소녀와 30대 중년이 함께 만나 데이트를 즐기고 그 관계가 한동안 지속되는 것도 원조교제에 포함되기도 한다. 일회성 만남을 통해 성인 남성의 성적인 욕구를 푸는 데만 집중된 우리의 원조교제와는 그 성격이 많이 다른 것이다.

비록 그렇게 일회성 성관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유형들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원조교제는 그야말로 일본 열도를 휘몰아쳤다. 1995년과 1996년은 그중에서도 절정이라고 할 만큼, 전체 일본 열도가 원조교제를 둘러싼 논란에 휩싸였던 것. 일본 정부에서 ‘원조교제는 매춘입니다’라는 포스터를 붙이고 대대적인 단속에 나서고, 한 청소년문제 전문가가 신문에 원조교제에 대한 칼럼을 쓰면서 ‘팔려거든, 비싸게 팔아라’라고 해 파문을 불러일으킨 것도 그 즈음이다. 문화평론가 김지룡씨는 일본에서 겪은 자신의 성경험을 담은 에세이집 <나는 솔직하게 살고 싶다>에서 당시의 상황을 “원조교제가 사회문제로 떠들썩하게 된 것은 중산층 가정의 극히 평범한 소녀가 몸을 판다는 충격적인 사실에 있었다. (중략) 어른들이 분개한 것은 원조교제라는 행위보다는 자신들이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불안감에 기인하는지 모른다”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그런 혼돈의 시기를 거치며 일본사회는 10대 소녀들의 원조교체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시작했다. 더이상 ‘물질만능’이라는 등의 아주 1차원적인 주장들은 사라지고, 10대 소녀들로 하여금 ‘돈’을 필요하게 만든 원인을 파악하기 시작했던 것. 그리고 베일에 가려졌던 원인이 차츰 드러났는데, 바로 일본사회 특유의 ‘집단적 강요’가 그것이었다. 초미니 스커트, 루즈삭스, 염색한 머리, 최신형 휴대폰 그리고 명품 가방을 들고 다녀야 따돌림을 당하지 않고 주류에 속할 수 있다는 이른바 ‘집단적 강요’가 평범한 중산층 10대 소녀들을 원조교제의 길에 나서게 했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지메’만큼이나 고질적인 일본사회의 집단적 강요라는 것을 없애버릴 묘안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그래서 일본사회는 아직까지도 원조교제에 대한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사회도 원조교제를 더이상 단순한 범죄로 다루어서만은 안 될 것이다. 아직까지도 일부 가출 10대 소녀들이 돈을 벌기 위해 벌이는 경우가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중산층 출신에 안정적인 환경을 가진 소녀들에게까지 확산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서 원조교제의 이러한 확산 가능성을 인정하는 기반 위에서, 최대한 그 확산을 막거나 늦출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야 하는 것이다. 그저 ‘순결’ 운운하는 구시대적인 발상으로는 10대에게 정신교육을 시키겠다는 접근방식으로는, 도저히 해결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런 노력이 단순히 10대 소녀들을 타락에서 구원하는 차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미래 한국인들의 어머니’를 보호하는 일임을 명심해야 하는 것이다.이철민/ 인터넷 칼럼니스트 [email protected]

<바운스> 한글 공식 홈페이지 : http://www.bouncegirl.co.kr

문화평론가 김지룡씨의 ‘원조교제(새로운 룰의 매춘게임)’원문 : http://jls.co.kr/japan/information/wonjomeeting.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