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JIFF Daily > 제 24회(2023) > 2023 전주국제영화제
JEONJU IFF #8호 [수상작 인터뷰] 한국경쟁 대상 '당신으로부터' 신동민 감독 , 아버지를 기억하는 증언집
이우빈 사진 백종헌 2023-05-06

한국경쟁 대상 <당신으로부터> 신동민 감독 인터뷰

올해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대상의 영예는 신동민 감독의 두 번째 장편 <당신으로부터>에게 돌아갔다. 첫 장편 <바람아 안개를 걷어가다오>가 동일 부문 대상에 선정된 이후 3년 만이다. 이로써 신동민 감독은 해당 대상을 2회 수상한 최초의 감독이 됐다. <당신으로부터>의 형식과 내용이 전작과의 연속선상에 있는 것을 고려하면 더욱이 의미 있는 족적이다. 먼저, 실제 신동민 감독의 어머니 김혜정 배우가 다시 등장한다. 신동민 감독이 직접 출연하여 모자 관계를 연기하기까지 한다. 다만 <당신으로부터>에 연기라는 단어를 무턱대고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다. 3부엔 신동민 감독이 실제로 겪었던 아버지의 상실, 전작에서 경험한 어머니와의 영화 촬영 과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1, 2부에서도 신동민 감독의 주변인들이 각자의 일상을 영화 속에 녹여낸다. 시상식 직후의 신동민 감독은 들뜬 맘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본인의 연출론을 진중히 읊어냈다.

- 3년 전에 이어 다시 대상에 선정된 소감은.

= 3년밖에 안 지났으니 절대 안 줄 것 같다고 생각했다. (웃음) 솔직히 사람이니만큼 아주 조금의 기대를 하고 시상식에 오긴 했다. 그래도 다른 감독들 축하해 주자는 마음이 컸다. 이번 작품은 영화를 만든다기보다 등장하는 인물들의 실제 삶과 시간을 담는다고 생각했다. 나와 어머니를 포함해서 말이다. 관객들이 우리 모자, 우리 배우들의 삶을 응원해 준다는 느낌이 들어서 더욱더 기쁘다.

- 전작 <바람아 안개를 걷어가다오>의 연장선으로 느껴진다. 어떻게 구상을 시작했나.

= 전작이 가족 사이의 공통점을 중심으로 다뤘다면 이번엔 서로를 전혀 모르는 타인들의 연속적 유대, 그로부터 발견되는 차이를 포착하고 싶었다. 그리고 그 차이에서 발견되는 닮음들을 발견하려 했다. 최근엔 닮음과 다름이 한 곳에 공존한다는 생각에 빠져 있다. 영화를 3개의 챕터로 구분하며 차이를 드러내면서도 세 이야기 간의 공통점을 추출해 보려 한 이유다.

- 실제 어머니 김혜정 배우의 출연을 계속 이어가는 이유는 무엇인가.

= 전작의 GV에서 어머니에게 질문하며 우는 관객이 종종 계셨다. 본인의 삶과 너무 닮아있다는 이유였다. 가끔 외부에서 왜 네 일기장을 영화로 만드냐는 말을 듣는다. (웃음) 그런데 저런 일들이 반복되다 보니 나의 시간, 어머니의 시간이 타인의 삶과도 맞닿을 수 있겠단 생각이 깊어졌다. 그래서 이번 영화에선 아예 나와 어머니의 GV 장면을 넣기도 했다.

- GV 장면에서 “<바람아 안개를 걷어가다오>는 영화에서 실제 어머니의 모습을 구현하고 싶단 생각에서 시작했다”라고 밝혔다. 이번 영화엔 ‘실제 어머니 모습’이 얼마나 구현된 것 같나.

= 어머니의 진짜 모습을 구현한다는 목표가 나쁜 건 아니지만, 다소 어리석은 생각인 것 같다. 전작의 어머니를 보면서도 영화 속 어머니가 실제 본인이면서 본인이 아닌 순간이 있다고 느꼈다. 내가 명확히 ‘이건 우리 엄마야!’라고 단언할 수 없는 부분이 많았다. 그래서 이번엔 내가 느끼는 누군가의 모습을 표현하려 했다. 이게 진짜인지 가짜인지에 관한 생각은 지웠다. 지난 10년은 이런 진위의 판단에 혈안이었다. 그런데 이제는 그런 가치 판단이 무의미할 수도 있겠다고 느낀다.

- 가족이라도 동업은 피하란 말이 있는데. 어머니와의 연기 협업은 순탄한지.

= 그렇다고 믿는다. (웃음) 어떻게 보면 어머니를 괴롭히는 걸 수도 있겠으나 난 효도의 마음으로 일하는 중이다. 한 달에 한두 번은 꼭 어머니 집에 들르지만 사실 영화를 찍을 때만큼 많은 시간과 대화를 나누진 못한다. 이렇게 말하니까 불효자 같긴 한데. (웃음) 특히 이번에 함께 연기를 하면서는 난생처음으로 어머니의 눈을 깊게 바라봤다. 그동안 어머니와 제대로 눈 마주친 적이 없다는 깨달음과 함께 어머니와의 시간을 이제야 직면한다는 느낌이 강렬히 들었다. 또 지난 작업에서 관객들의 호응을 들으신 어머니가 정말 큰 행복을 만끽하셨다. 내가 본 어머니의 모습 중 가장 행복해 보이셨다. 그래서 이번에도 출연을 부탁하게 됐다.

- 다른 배우들과 그렇듯 어머니와도 사전 대본 리딩 같은 절차를 거치는지.

= 하지 않는다. 1, 2부에도 다큐멘터리적 접근법을 가미했긴 하지만 3부는 대본이 아예 없었다. 정말 대책 없이 찍었다. (웃음) 어머니께 시나리오를 보여드리지 않았고 전작도 마찬가지였다. 대신 우리가 대화할 장소들을 먼저 정한 후에 거기서 그냥 열심히 대화했다. 실컷 이야기 나누며 촬영한 다음에 편집하는 방식이었다.

- 1, 2부의 주인공인 의상학도 민주, 연기학도 승주 캐릭터는 어떻게 구상했나.

= 또 다른 ‘신동민’들의 모습을 그리고 싶었다. 만약 어머니가 낳지 못했던 아이가 딸이었다면, 내가 딸로 태어났다면 어땠을지 궁금했다. 다른 작품에서 만났던 강민주 배우 겸 프로듀서, 이금주 배우와 함께 캐릭터 구축을 시작했다. 이들은 실제 의상학도, 배우들이다. 그들의 삶을 영화에 그대로 반영한 셈이다. 혹자는 영화를 너무 대충 만드는 것 아니냐고 할 수도 있다. (웃음) 그러나 영화란 내가 무언가를 인위적으로 조작하기보단 사람들의 삶을 콜라주 하는 작업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처음엔 나로부터 시작했으나 종국엔 그들과 나의 접점이 생겨났다. 덕분에 3부의 혜정과 동민이 자연스럽게 등장할 수 있었다.

- 각 단락의 끝마다 유령이 등장한다. 1부에서 모양이 불특정한 검은색 형체였다가 3부에 가까워질수록 명확한 모습으로 변모한다.

= 기획의 첫 단계가 어머니와 아버지의 대화 장면이었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모습을 영화에 되살리고 싶었다. 두 분의 대화 시간을 나뿐 아니라 관객들도 체험해 주길 바랐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나서 문득 아버지와 내 외양이 참 닮았다고 느꼈다. 코, 손톱이나 특히 두상이 비슷했다. 그래서 그린스크린에서 추출한 내 신체와 영정 사진 속 아버지의 얼굴을 합성해서 유령의 이미지를 만들었다. 그로부터 역순으로 유령의 형태를 주조했다. 쉽사리 정의되지 않는 내 마음 같기도 하고, 심장이나 실타래 형태 같기도 한, 친근하고 낯설면서 이질적이고 귀엽기까지 한 불확실의 형체를 만들게 됐다. 너무 난해한 설정이라서 전문가인 이해미 애니메이터님께 큰 도움을 받았다. (웃음)

- 3부의 후반부, 아버지의 유골이 뿌려진 산기슭에서 어머니와 긴 대화를 나눈다. 그런데 모자의 모습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대신 산의 풍경만 길게 이어진다.

= 실제로 아버지의 유골을 그 산속에 뿌려드렸는데, 이 사실이 늘 부끄러웠다. 유골을 강에 뿌려 달라고 하셨는데 당시 상황이 너무 힘들었던 터라 계단 옆 나무쯤에 뿌려버렸기 때문이다. 다만 시간이 지나 바람이 불고 비가 오면 나무 옆의 유골이 산 곳곳, 강까지 퍼지지 않겠나. 그렇게 아버지의 모습이 산이 되고 강이 되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아버지를 기리는 장면에서 특정 부분을 촬영하기보단 산의 전체 모습을 찍게 됐다. 그 위로 올라오는 자막은 아버지의 실제 유서다. 이렇게까지 아버지의 개인사를 영화에 투영해도 될지에 많은 고민이 있었다. 그런데 뭐 아들로서 이 정도는 할 수 있지 않겠나. (웃음) 전작부터 그랬지만 최근의 작업은 일종의 증언집이다. 아버지가 여기에 살아있었단 사실을 잊지 않고 남기고 싶다.

- 가족에 관한 이야기, 3부 구조 등 특징적인 내용과 형식을 계속 고수하려 하나.

= 구체적인 방법론을 추구하진 않는다. 굳이 특정하자면 사람을 찍고 싶다는 것뿐이다. 나중엔 공포영화 형식도 찍어보고 싶다. 이번에 유령도 등장시켜 봤으니 할 수 있지 않을까. (웃음) 사실 지금 말하던 중에 문자 하나를 봤는데 좋은 소식을 확인했다. 단편영화 제작지원에 선정됐다고 한다. 겹경사네. (웃음) 차기작 얘기 중에 마침 이런 일이! 말 나온 김에 설명하자면, 차기작에선 성남에서 노래 부르는 사람들을 촬영해 보려 한다. 앞으로도 내가 보는 사람들과 내가 찍고 싶은 사람들을 영화로 잘 만들어 보겠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