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오늘은 SF
[곽재식의 오늘은 SF] 저렴하게 달나라로 가는 문트랩

이상한 수수께끼 사건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어디에선가 시대를 초월한 물건이 발견되었다는 이야기들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공룡은 사람보다 6천만년 이상 앞서서 멸종했는데 어느 정글 지역에 가면 예로부터 원시인들이 공룡 모양처럼 만든 조각품을 만들어두었다는 등의 이야기 말이다. 이런 이야기의 종류는 대단히 다양하다. 유럽의 어느 유적지에서 몇천년 전에 만들어진 컴퓨터 같은 기계장치가 발굴되었다더라, 중동의 어느 유적지에서는 수천년 전 물건인데 전기 배터리 같아 보이는 것이 있다더라, 아프리카의 어느 고대 유물에는 꼭 전등을 사용하는 것 같은 그림이 새겨져 있다더라, 남아메리카의 어느 고대 유물은 우주선이나 제트기를 닮았다더라 등등이 거기에 포함된다.

이야기에 대해 좀더 깊이 연구한 결과를 살펴보면 대체로 현실적인 해설이 나와 있는 경우가 많다. 이를테면 전기 배터리처럼 보이는 물건은 사실 생각보다 그렇게 정교하지 않고 나름대로 그 비슷한 물건이 수천년 전에도 쓸모가 있었는지라 고대인들도 충분히 엇비슷하게 만들 만한 제품이라는 식으로 풀이해볼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훨씬 기괴한 설명이 인기를 얻어 같이 퍼져나가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4천년 전에 외계인이 찾아와서 놀라운 기술을 전해주고 간 것으로 추정된다든지 엄청난 기술을 가진 신비의 종족이 과거에 있었다든지 아니면 미래 세계에서 시간 여행 온 사람이 있었다는 따위의 설명 말이다.

SF계에서는 1980년을 전후해 이런 소재가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끈 적이 있다. 장편소설 시리즈 <별의 계승자>가 바로 그 무렵에 큰 성공을 거두었다. 국내 SF 팬에게도 비교적 잘 알려진 소설인데, 달 탐사하던 사람들이 낯선 우주복을 입은 시체 한구를 발견하는 것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곧 시체는 무려 5만년 전의 것으로 확인된다. 소설의 핵심은 도대체 어찌된 영문인지 파헤쳐나가는 것이다. 5만년 전이면 구석기시대가 아닌가? 도대체 그 시대의 누가, 어떤 방법을 썼기에 우주에 나와서 죽은 채로 발견될 수 있었을까? 지금 돌아보면 이 소설의 인기 덕택에 그런저런 시대를 초월했다는 유물 이야기도 더 자주 언급되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별의 계승자>는 수수께끼를 던지고 그 수수께끼의 단서를 짚어가며 하나둘 풀어나가는 형태로 진행된다. 그래서 독자는 도대체 어떤 사연으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추리하게 되고 다양한 상상 속에서 진상을 궁금해하면서 책장을 넘기게 된다. 조사 방법과 단서를 해석하는 방식이 제법 정교하게 과학기술을 이용해 따져나가는 터에 그 과정도 신기하고 즐겁다. 게다가 조사 결과에 가까이 다가갈수록 점점 더 놀라운 일이 벌어져 독자를 흥분시키는 점이 훌륭하다. 마지막에는 거기에 어울릴 만큼 거창하고 화끈한 내용이 진실로 펼쳐진다. 이러니 가히 인기를 얻을 만한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덕택에 1980년대 이후로 비슷한 소재를 활용한 SF가 꽤 여러 편 나왔다. 대표적으로 <스피어> 같은 영화 역시 바다가 배경이지만 도입부는 비슷한 계통이라고 부를 수 있겠다. 한국 SF 중에는 듀나 작가가 쓴 <장례식>이라는 단편이 떠오른다. <장례식>에는 몇만년이 아니라 화끈하게 몇억년의 시간 차이가 소재로 등장한다.

<별의 계승자>와 좀더 비슷한 영화를 꼽아보자면 1989년작 <문트랩>(Moontrap)이 있다. 시작부터 <별의 계승자> 느낌이 물씬 난다. 우주 탐사 도중에 우주에서 우주복 입은 시체와 이상한 알 모양의 장치를 발견하는 장면으로 출발하기 때문이다. 그 물건들은 4만년보다 훨씬 더 앞선 시대의 것으로 판명된다. 도대체 어떻게 된 사연일까? 그런 게 왜 우주에 떠다니고 있을까? 그런데 <별의 계승자>와 닮았다는 점 외에 이 영화를 설명하려면 같이 꼭 언급해야 할 것이 있다. <스피어> 등에 비해 이 영화는 훨씬 적은 돈을 들여 만들었다는 사실이다. 저예산영화의 위대한 성공 사례인 <이블데드>의 브루스 캠벨이 이 영화에서도 주인공으로 등장하는데, 이조차도 뭔가 상징처럼 보일 만큼 <문트랩>은 딱 봐도 중저예산영화처럼 생겼다.

그러다보니 <문트랩>의 내용은 치밀하게 단서를 찾아서 조사하고 그것을 조사하다보니 점점 더 어마어마한 진실이 밝혀진다는 식으로 이야기가 흘러가지 않는다. 그냥 쉽게 만들고 쉽게 즐길 만한 형태로 흘러간다. 요약하자면 이 영화엔 SF영화 시리즈로 1980년대에 큰 인기를 끌었던 <에이리언> 시리즈와 <터미네이터> 시리즈를 섞어놓은 장면이 많이 활용되었다. 우주에 고립된 주인공들을 외계의 괴물들이 공격해오는데 그 괴물들이 로봇처럼 생겼다는 뜻이다.결과물은 어느 수준이라고 평가하면 좋을까? 1980년대에는 전세계적으로 <에이리언>의 아류작들이 많이 만들어졌다. SF영화라고는 하지만 우주선 세트만 적당히 만들어두고 그냥 우주 괴물이 공격하면 사람들이 이리저리 도망치는 공포영화처럼 꾸미면 되니까 쉽게 만들 수 있다고 여기지 않았나 싶다. 그래서인지 나는 이 시기의 <에이리언> 아류작들은 성의 없게 만들어진 것들이 절반 이상이라고 본다. 이야기는 지루하고 괴물이 인상적으로 등장해야 하는데 빈약한 특수효과를 가리기 위해 어두컴컴한 곳에서 등장하게 한 영화가 많아 화면이 잘 보이지도 않았다.

그런 영화에 비하면 <문트랩>은 꽤 재미나다. 로봇 모습으로 표현한 괴물의 모습과 습성도 개성 있고, 밝은 화면에서 모든 장면이 선명하게 보인다는 것도 편하게 영화를 볼 수 있게 해준다. 달 표면에서 벌어지는 장면들의 특수촬영 기술은 아름답다고 할 정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재밌다고 하기에는 충분할 정도로 잘 꾸며져 있다. 물론 <별의 계승자>에 비하면 결말의 진실이 약한 편이긴 하다. 그러나 대신 브루스 캠벨이 있다. 투캅스 계통의 구도, 즉 성격이 다른 경찰 두명이 돌아다니며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을 브루스 캠벨을 재료로 엮어 버무린 것이 잘 먹혔다. 진지하고 유능한 우주 비행사와 농담 잘하고 여유를 부리는 우주 비행사, 두 사람이 오랜 동료로 나와 서로 죽이 잘 맞아 농담 따먹기를 계속 늘어놓는다. 그러면서 달나라의 신비를 파헤치겠다고 나서면 그런대로 즐겁게 시간이 흘러간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