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편집장이독자에게
영화에 또 말걸기
2002-10-05

어느 날, 영어권에서 발행되는 어느 영화잡지에서 편집장의 글을 읽다가 안도감을 느낀 적이 있다. 동종의 범죄자를 만났을 때 느낄 법한 그런 감정이었다. 그이는 영화비평을 업으로 하는 이들의 착잡한 심정을 털어놓고 있었다. 이들이 자신들의 조리대에 올리는 영화들은 대부분, 올리지 않은 영화들보다 못난 재료가 아니다. 요모조모 뜯어보고, 음미하고, 감탄도 하고, 흠을 찾아내거나 아니면 제 입맛에 맞지 않아 타박도 하는데, 타박하고 때로는 화를 냈더라도 그가 선택하지 않은 세상의 하고많은 영화들보다 상대적으로 열등하다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그가 그렇게 쓰지는 않았다. 비유하자면 그런 내용이었다는 것이지).

도리어 다른 영화들보다 더 ‘중요’하기에 평자의 손이 가닿는 경우가 더 많다. 이 선택된 영화들이 비평의 해부를 당하고나면 결과적으로 그 자리가 좁아지는 건 아닐까. 그렇지 않아도 ‘시장’이 제한된 영화들이 대상이라면 누군들 그런 고민을 하지 않겠는가. 영화읽는 이들의 ‘과도한 의미부여’가 영화의 대량소비에 도리어 걸림돌이 된다면 또 어떤가. 돌려서 말하지 말아야겠다. 평론가들이 이렇게 말하는 것 보니 골치아픈 영화겠군, 하고 등을 돌린다면 어쩌겠는가. 반대의 경우도 당연히 있다. 비평의 영향력 바깥쪽 영화들. 대상으로 선택을 하든, 하지 않든 흥행에 성공하는 영화들. 다중의 선택에 딴죽을 걸다니, 이건 지적 귀족주의의 노출일 뿐이라는 항의에 노출되기도 한다.

이렇게 실용적으로 고민하고, 멈칫거리는 순간이 지나면(누구에겐들 길 위에서 멈추는 순간이 없겠는가), 다시들 쓰고, 다시 한권의 잡지를 만든다.

올해의 중요한 한국영화 <오아시스>를 비판적으로 읽는 긴 글을 평론가 정성일씨가 보내왔다. 책 끝에 싣는다. 영화를 받아안는 일은 창작의 마지막 단계라고, 그것을 통해 작가와 그의 동료들이 세워낸 세계가 ‘우리’와 ‘나’의 것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씨네21>이 너무 전문적으로 변한다고 질책하시는 분들도 우리의 지면을 심도깊은 대화의 자리로 활용하는 것을 이해해주시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