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피플 > 인터뷰
<무사> <봄날은 간다> 제작한 싸이더스 차승재 대표 [2]

-어떤 노력을 하고 있나.

=해외 세일즈를 합작사인 일본 쇼치쿠 영화사가 맡았다. 쇼치쿠 국제부가 우리보다 인원과 시스템도 많고 더 잘하며 그게 허 감독에게 도움이 된다. <봄날…>은 홍콩에서 11월1일, 일본에서는 내년 2, 3월경 개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새로운 대중영화로 지평을 넓혀간다는 싸이더스의 노선은 분명히 성공이 보장된 도전은 아니다. 특히 올해 여름 성공작들을 보면서 차 대표가 바라는 것과 관객이 바라는 것이 어긋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생기지는 않았나.

=우노필름 시절에는 우노 사람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영화를 했다고도 볼 수 있지만 싸이더스에 와서는 흔히 얘기하는 재무제표 숫자를 무시할 수 없다. 앞으로는 개인적인 욕망보다는 기업 운영자로서의 책임감을 반영해서 영화를 만들어야 할 것 같다. 하지만 오늘은 ‘모’였는데 내일 ‘도’다, 이런 식은 아니다. 스펙트럼을 다양화해서 새로운 지평을 넓히는 시도도 계속할 것이고, 관객의 욕망에 대한 진지한 연구를 통해 그 욕망에 부응하는 영화도 만들고 싶다.

-가끔 그런 욕망이 싫어지거나 회의가 든 적은 없나.

=한번도 없다. 관객은 나의 영원한 구애 대상이다. 그게 영화하는 사람의 운명이다. 대신 세련되고 좀더 우아한 구애를 하고 싶다는 얘기다.

-관객의 욕망을 연구한다고 했는데 트렌드 같은 것은 거부하는 듯하다.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안 맞다. 그쪽으로는 재주가 없는 거다. 대신 영화를 오래 하다보니 습관처럼 굳어지는 어떤 게 있는 것 같다. 장기적으로 보는 습관과 전체를 조망하려는 습관이 그것이다. 내가 사용하는 도구는 그런 것이다. 단기적인 시각이나 트렌드를 금방 읽어내거나, 이것은 안 맞는 것 같다.

-그래서 싸이더스 영화는 대중영화로선 강하고 때로 딱딱하다는 느낌도 든다.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게 설탕이다. (웃음) 소금간까지는 이제 맞추는 것 같은데 설탕이 부족하다. 달콤한 영화를, 별사탕을 만들겠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단맛이 겉으로 나오진 않아도 맛의 조화를 이루자는 이야기다.

-다른 영화사의 작품을 보고 콤플렉스를 느낀 적이 있나.

=있다. <공동경비구역 JSA>가 그랬다. 흥행은 둘째치고라도 샘날 만큼 잘 만든 영화고 좋은 영화다. 하지만 우리가 같은 소재로 과연 저렇게 만들 수 있을까. 확신할 순 없지만, 우리 회사에서 제작했으면 미스터리 형식으로 끝까지 밀고가면서 유머나 멜로적인 요소는 줄지 않았을까. 아까 맛의 조화 얘기도 했지만, 작품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저렇게 단단하면서도 오밀조밀한 느낌의 영화를 만들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갖게 했던 게 <…JSA>였다.

-최근엔 작품 활동이 뜸했던 중견감독의 영화도 많이 제작한다.

=같이 라면 끓여먹으면서 어려운 시절을 함께 보낸 사람들에게, 지금 내가 해줄 수 있는 게 그것밖엔 별로 없다. 그나마 지금 큰 회사의 책임을 맡고 있는 상태에선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일도 아니다. 회사 내의 동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얘기다. 최근엔 제작위원회라는 게 만들어져서 작품 선정이 더욱 엄격해졌다.

-언론이나 비평가들의 비평 경향 가운데 제일 싫은 게 무언가.

=주제를 너무 중시하는 경향이다. 나는 주제보다 연출력이 먼저라고 생각한다. 주제가 좋아도 설익거나 영화적으로 제대로 표현되지 않았다면, 그 주제는 영화적으로 값어치가 없다고 본다. 메시지가 영화를 평가하는 데 기준이 되는 시대는 이제 지나지 않았나. 그런데도 아직 그런 침대를 잣대 삼아 영화를 눕혀 자르는 케이스가 있는 것 같다.

-최근 2∼3년 동안 관객의 취향에서 중요한 변화가 있다고 보나.

=가요시장에서 먼저 있었던 변화인데, 자국음악 콘텐츠에 대한 소비 욕구가 강해졌다는 것. 문화 콘텐츠 소비욕구에 주체성이 생겼다고 봐야 하나, 아무튼 그런 게 영화로 전이된 것 같다. 이것은 한국영화로선 둘도 없는 기회다. 이 기회를 웬 떡이냐며 돈 뽑아먹는 기회로 생각해선 안 된다. 지금은 한국영화라는 땅의 지력을 키우는 계기로 삼아야 하는 시기다.

-한국영화는 좋게 보면 역동적이긴 하지만 어떻게 보면 굉장히 불안해 보인다.

=산업화 초기단계라서 역동적이고, 그만큼 안정성이 떨어진다. 곧 균형을 잡아갈 것으로 본다. 그런데 어떤 방향으로 균형이 잡히느냐가 진짜 문제다. 퇴행적인 재생산 시스템으로 균형이 잡히냐, 계속 돌파를 해나가는 쪽으로 잡히냐 말이다.

-어느 쪽일 것 같나.

=지금은 감이 안 잡힌다. 굉장히 중요한 시점이다. 영화를 어떻게 할 것이냐에 대한 충무로 전체의 암묵적 동의가 있어야 한다. 이미 아시아시장에서 한국영화를 유통시킬 기회를 잡았다. 이 기회를 어떻게 쓸 것인가, 여기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홍콩영화계를 많이 연구해야 한다. <황비홍>이 성공하면 황비홍 손자의 영화까지 나왔던 홍콩의 경우, 순발력은 있었지만 영화 자체의 퇴행성 때문에 오래 못갔다.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어야 관객의 입맛에 대응할 수 있다.

-블록버스터도 좋지만 저예산 영화쪽도 신경을 써야 하지 않을까.

=이 세상에서 제일 싫은 게 흑백논리다. 블록버스터만 해야 한다, 또는 저예산만 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저예산 영화도 연구중이다.

-그렇게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는데 이제 음반, 매니지먼트 등을 총괄하는 사장이 됐으니 영화에 신경을 덜 쓰게 되는 것은 아닌가.

=어차피 부사장 때도 비슷한 업무를 수행해왔다. 대표이사로서 대외적인 업무 정도가 추가될 뿐이다. 각 부문에 관해서는 그쪽 책임자가 가장 잘 알고 있으니 알아서 처리한다. 중요한 사안은 여러 명이 함께 결정하고, 정리나 조정이 필요할 때 내가 나서는 정도다.

-이 와중에 영상사업부문장이었던 조민환 프로듀서와 김성수 감독을 분가시킨다. 섭섭한 마음이 있을 것 같다.

=헤어진다는 생각은 전혀 안 든다. 그냥 또다른 형태로 일한다는 생각이다. 인연이 끊어진다고 생각지 않는다. 감회가 새로운 게 있다면, 내가 늙는구나 하는 생각은 든다.

-지난 1년 반 동안의 대차대조표를 그린다면.

=지난해도 흑자, 올해도 흑자다. 지난해는 음반이 컸고 올해는 영화도 클 것이다. 지난해는 영화에서 흑자를 못했지만, 올해는 네편 정도가 돈을 벌어줄 것이니 영화부문에서도 흑자를 낼 것이다.

-<밤을 걸고> <헬로 피구> 등 일본과의 합작 프로젝트도 여럿 진행중이다. 어떤 성과가 있나.

=합작을 통해서 일본시장을 공부하는 중이다. 합작을 하다보면 정산을 해야 하는데, 얘들이 이런 규모에서 이런 마케팅 비용이 들고, 이런 영화는 시장에서 이런 관객이 반응하는구나, 이런 것을 배운다. 양쪽 시장에서 통용되는 영화를 만들기 위한 기초 자료 수집 차원이다. 성과라면 아직 말할 수는 없지만, <봄날은 간다>를 통해 결과가 나올 것이다.

-투자사인 아이픽처스의 대표이기도 하다. 마술피리와 청년필름에 투자를 하는데.

=마술피리의 오기민 대표와 청년의 김광수 대표는 좋아하는 동료와 후배다. 그 친구들 영화하는 방식도 좋다. 그들이 자리를 잘 잡았으면 하는 게 바람이다. 그런데 내 입장이 참 이상하다. 투자자이면서도 투자 받는 입장이고, 매니지먼트를 하면서도 캐스팅을 기다려야 하니…. (웃음) 그 안에서 공정성을 가지려고 노력한다.

-싸이더스가 준비하고 있는 작품 중 굵직한 것이 있다면.

=3년 전부터 일본 다녀오면서 SF를 준비했는데, 만들고 싶다. 시나리오는 지금 하나 있다. <봄날은 간다>가 성공하면 다시 한국, 일본, 홍콩 3국 프로젝트로 해보고 싶다. 이외에도 노스탤지어 영화가 하나 있고, 이순신 장군과 관련된 이야기도 있다. 아직 공개할 단계는 아니다.

-장기적인 비전이 있다면.

=일단 아시아시장에서 제일 센 영화사가 되고 싶다. 예전의 골든 하베스트나 쇼 브라더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희망이 있다. 이를 위해 내년 상장된 뒤에는 해외지사도 낼 생각이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