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스페셜 > 스페셜1
설 연휴 비디오 가이드 [3] - <미드나잇 가든> <트루 크라임> 外

숨은 비디오 걸작 3 - <미드나잇 가든> <트루 크라임>과 클린트 이스트우드

늙은 총잡이, 자본주의를 쏘다

<미드나잇 가든>

70년대 초 <더티 하리> 시리즈에서 흉악한 범죄를 대하는 법제도의 온건함을 참지 못해 함부로 총질을 해대는 켈러핸 형사를 연기했을 때, 그리고 켈러핸의 파시스트적 질서 의식을 변호하고 심지어 로널드 레이건과의 친분설까지 제기됐을 때, 이스트우드는 꼴사납게 늙은 서부사나이처럼 보였다. 한참의 세월이 지난 뒤에야, 그리고 감독 이력이 꽤 두텁게 쌓인 다음에야, 그는 자신과 자신의 영화적 이미지, 그리고 그것을 만들어낸 미국사회를 고통스럽게 성찰하는 작품을 내놓았다. 할리우드 영화사에서 이스트우드는 아마도 배우로서 얻은 찬탄 속의 음모를 후에 감독으로서 그리고 자신이 연출한 작품으로서 분별한 최초의(아마도 최후의) 인물일 것이다.

<용서받지 못할 자>를 기꺼이 걸작으로 부른 사람이라면, <미드나잇 가든>의 느리고 둔중한 이야기에도 쉽게 귀기울이게 된다. 이 영화는 또다른 걸작 <추악한 사냥꾼>과 함께 그의 필모그래피에서 가장 냉대받은 작품이지만, 이스트우드의 대표작 목록에 올려놓아도 과하지 않은 걸작이다. 사바나라는 작은 도시에 기자 존(존 쿠색)이 파견된다. 그의 임무는 이 도시의 부호 짐(케빈 스페이시)의 크리스마스 파티 취재다. 사바나는 일견 정리되고 단아한 곳이지만, 시선을 조금만 고정시키면 약간씩 비틀어져 있다. 있지도 않은 개를 산책시키는 사람, 파리떼를 데리고 다니는 사람, 권총을 소지하고 파티에 참석하는 여인들이 이 도시를 채우고 있다. 갑자기 짐이 게이 애인을 권총으로 살해하는 사건이 벌어진다. 여기까지만 보면, 이후는 갈등의 전모가 드러나는 가파른 반전게임으로 접어들 것 같지만 사정은 전혀 그렇지 않다. 음모를 다루돼, 어떤 스릴러적 긴박도 반전도 없고, 갈등의 해결도 지극히 우연적인 이 이상한 드라마야말로 이스트우드가 바라보는 미국사회의 축도다. 다만 이스트우드는 부두교 신자나 사람들 관심 밖의 여성 등 아웃사이더의 삶에서 미적지근하나마 온기를 발견한다. 존의 결론도 이곳에서 좀더 살아보는 것. 모호해보이는 이 결말은 얼핏 이해가 안 되지만 모순과 혼돈의 지상에서라면 피할 수 없는 실존적 결단으로 읽힌다.

<트루 크라임>은 <미드나잇 가든>보다 훨씬 대중적이지만, 그만한 신랄함은 덜하다. 노령과 무능력 그리고 괴팍한 성격으로 자신의 쓸모를 잃어가는 기자(이스트우드)는 우연찮게 사형수의 마지막날 취재를 지시받는다. 그러나 이 고참 기자의 직관은 이 흑인 사형수가 무죄임을 감지한다. 그는 한가닥 남은 직업정신으로 결국 사형수의 누명을 벗기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간다. 줄거리만 보면 단순한 휴먼스토리지만, 이스트우드 특유의 느슨한 리듬과 성긴 구성, 나른하고 옅은 비애의 정조는 종종 이야기의 매끈한 진행을 방해한다. <미드나잇 가든>의 위엄에 비한다면 <트루 크라임>은 마치 휴식 같은 소품이지만, 이스트우는 어느 경우에나 삶의 드러나지 않은 조건에 예민한 촉수를 거둬들이지 않고 있다.

<하이 로 컨츄리>

베를린영화제 감독상 수상작. 세계대전에 참가하기 위해 떠났던 피트가 귀향한다. 친구 ‘빅보이’를 만난 피트는 예전처럼 허물없는 우정을 나눈다. 옛 애인 미사는 이미 다른 남자와 결혼한 상태. 마을에선 잦은 분쟁이 발생하고 어느 날 피트는 빅보이와 미사가 은밀히 사귀는 사이인 걸 뒤늦게 눈치챈다. 그리고 빅보이는 동생과의 다툼에서 우연한 총사고로 목숨을 잃는다. 마틴 스콜세지가 제작하고 <와일드 번치>의 워론 그린이 각본을 쓴 영화. 우디 해럴슨, 패트리샤 아퀘트 등 배역도 호화스럽다. <하이 로 컨츄리>는 서부극의 전통이 어느 정도까지 해체되었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영화에서 카우보이들은 더이상 타인을 위해 목숨을 내놓지도 않고, 영웅 행세도 하지 않는다. 스티븐 프리어즈의 무미건조한 리얼리즘이 빚어낸 색다른 드라마.

<그녀를 위하여>

사랑 안에 존재하는 온갖 도덕적 모호성을 포착한 로맨틱 코미디. 직접 쓰고 연기하고 연출한 <맥멀렌가의 형제들>로 95년 선댄스영화제 심사위원 대상을 차지한 재주꾼 에드워드 번즈 감독이 데뷔작의 주제를 한결 넉넉해진 제작비로 리메이크했다. 약혼녀의 배신 이후 뉴욕의 택시운전사가 돼 거리를 헤매는 미키는 우연히 차에 올라탄 호프와 하루 만에 결혼한다. 한편 형이 자기를 들러리로 세우지 않은 사실에 쇼크를 먹는 동생 프랜시스는 형의 옛 약혼녀와 바람을 피우느라 아내의 욕망을 방치한다. 아일랜드계 미국인 형제의 우애, 배신을 내포한 로맨스, 갖가지 우연과 오해가 빚어내는 소극이 몇몇 진지한 질문들과 뒤섞인다. 번즈의 후속작 <치즈 케익, 블랙 커피>(No Looking Back)도 출시돼 있다.

<뉴튼 보이즈>

폭력과 언어의 속주로 범벅된 타란티노식 코믹 누아르가 20세기 말 미국 독립 영화의 한 줄기였다면, 리처드 링클레이터는 동시대의 또다른 큰 흐름을 이룬 X세대 영화의 맹주. <뉴튼 보이즈>는 <슬랙커> <데이즈드 앤 컨퓨즈드> <비포 선라이즈> <교외 아이들>로 낙오한 청년의 대변인을 자임한 링클레이터가 시대극으로 기수를 돌린 작품이다. 살인과 밀고를 금하고 여성과 어린이를 해치지 않는다는 원칙을 준수한 ‘프로페셔널’한 1920년대 은행강도 뉴튼 4형제가, 실화에 기초한 이 영화의 주인공. 감독은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윤리적 판단을 걷어내고 주어진 상황 속에서 절실한 가치들을 지키며 생존방식을 찾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따뜻한 시선으로 관찰하다. 시대극이지만 링클레이터 전작들이 지녔던 대사의 맛은 그대로다.

관련영화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