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캠퍼스 씨네21 > 캠퍼스 씨네21 > 컬쳐
[겨울방학특집] <도자기 박물관> 윤대녕 작가

비루한 일상이 모여 운명을 이룬다네

그간 특유의 여로 형식과 시적인 문장을 통해 인간 존재의 거처를 집요하게 탐색해온 작가 윤대녕. 일곱번째 소설집은 윤대녕 소설세계의 연속성과 함께 그가 새로운 소설세계로 나아가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책에 실린 일곱 단편 중 <구제역들>과 <검역>을 제한 나머지 다섯 작품에 서 과거는 빚쟁이처럼 주인공들을 쫓아다니며 채무 변제를 요구한다.‘육 년 전에 한 약속 잊지 않았겠죠? 오늘밤 자정에 거기서 만나요.’

<문어와 만날 때까지>의 주인공 ‘나’에게 온 요령부득의 문자 메시지가 시사적이다. 주인공의 기억에는 남아 있지 않은 6년 전의 약속이 지금 그의 발목을 잡고 늘어진다. 알 수 없는 약속에 발목이 잡힌 그의 처지인 즉 삼척 바닷가에서 문어 삶아놓고 기다리겠노라는 대학 동창의 전화에 응해 동해로 달려가는 중. 계부와의 관계를 포함해 자신에 관해 너무 많은 걸 숨기고 있는 아내로부터 도망치고 싶다는 심사가 그의 등을 떠밀기도 했던 터였다. 저녁에 도착한 바닷가에서 밤새 동창과 어지러운 술자리를 이어가던 중 그는 마침내 ‘육 년 전 약속’의 정체와 상대를 떠올리지만, 약속을 지키기에는 이미 늦어 버린 시각. “언제 어디서 나는 잃어버렸던 세계와 다시 만날 수 있을지…” 망각과 회상이 교차하던 어느 순간 그는 이런 상념을 곱씹는 것인데, 적어도 소설 속에서 그가 잃어버린 세계와 조우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윤대녕 존재론’의 중간 결산 <문어와 만날 때까지>에서 보듯 방기된 과거는 정체성의 약화와 관계의 훼손을 초래한다. 치명적인 질병을 핑계로 사랑하는 여인 ‘숙’으로부터 도망쳤던 <통영-홍콩 간>의 주인공 ‘백’은 죽음을 목전에 두고야 자신의 지난 선택을 후회하며 끊긴 관계를 되살리려 하지만, 이번에는 숙 쪽의 완강한 저항에 맞닥뜨린다. “더이상 삶을 지속할 수 없다면 과거의 기억이라도 복원하고 싶다”며 숙과의 추억이 깃든 홍콩의 이곳저곳을 되밟는 그의 행로는 방기했던 과거와 화해하고자 하는 속죄와 재생의 순례라 할 수 있다.

<통영-홍콩 간>의 주인공은 여정의 끝에 결국 숙의 용서를 얻어내지만, 표제작 <도자기 박물관>의 주인공 사내에게는 그런 가능성이 막혀 있다. 그가 용서를 빌어야 할 아내 영숙이 이미 땅속에 묻혀 있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어려운 처지에 부부의 연을 맺은 두 사람은 트럭 행상으로 전국을 떠돌면서 살림을 불릴 꿈을 꾸지만, 남편이 어울리지 않게도 ‘도자기 병’에 들려 방황하는 바람에 꿈을 포기해야 했고 그 여파로 아내는 스스로 죽음을 택하고 만다. 남편에게 남은 것은 몇점의 도자기와 돌이킬 수 없는 회한뿐. 일종의 예술가소설이라 할 이 작품에서 도자기라는 미적 대상이 후회와 반성이라는 사람의 도리 아래 굽히고 들어간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더이상 젊지 않은 작가의 연치를 떠오르게 하기 때문이다.

“어떻게 살아왔든 누구한테나 삶은 결국 꿈 같은 것이 아니었겠소?”불가마 앞에 쪼그려 앉은 그에게 그릇들은 이런 위로의 말을 건넨다. 그야말로 연륜에서 우러난 지혜라 하겠는데, <반달>의 주인공에게 어머니가 건네는 말 또한 방향은 달라도 같은 이치를 담고 있는 것처럼 들린다.“살아 있다는 것 자체가 누구한테나 고독이고 고통이겠지. (…) 그래도 아까 우리가 보았던 하늘 아래에서 이렇게 생명을 가지고 살아간다는 게다 좋은 일 아니겠니? 운명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하루하루 살아가는게 바로 운명이고 숙명이란다.”

삶이란 한갓 꿈 같은 것일 뿐이지만, 하루 또 하루의 비루한 일상이 모여 이루는 게 저 이름도 거창한 운명이요 숙명이라는 것. 꿈이라 허망해하지 말 일이며, 운명 앞에 지레 주눅이 들지도 말자는 것. 윤대녕 존재론의 중간 결산을 이 정도로 요약할 수 있지 않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