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Magazine > 칼럼 >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운동
2001-12-19

김규항의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전주 강연을 며칠 앞두고 대학동기 ㅇ목사에게서 내려오면 꼭 만나자는 이메일이 왔다. ㅇ이라…. 다른 친구에게 묻고서야 그가 누구인지 또렷이 기억할 수 있었다. 그는 누구보다 열심히 운동했고 노동현장에서도 5년가량 활동했던 친구다. 세월이 흘러, 뒤늦게 목사 안수를 받은 그는 전주에서 기독교사회복지 관련 활동을 하고 있다. 전주 한옥마을의 한 음식점에서 그와 술잔을 기울였다. “규항이 이 사람 그룹은 좀 특이했어….” 두런두런 익살을 섞어가며, 그가 그의 ‘동지들’에게 그 시절 나에 대한 기억을 들려주었다.

웃음지으며, 그 시절을 추억하던 나는 문득 ㄷ과 ㅎ을 생각했다. “세상이 달라졌다고들 하지만 본질적으론 달라진 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학생운동을 하던 둘은 올해 초 사회운동으로 이전했다. 둘을 생각하면 대견하고도 안쓰럽다. 더이상 운동이 ‘당연하고 자연스런 일’이 아닌 세상에서 운동하는 둘을 생각하면 말이다. 지난해 초 둘을 처음 만나 나는 말했다. “텔레비전 토크쇼 같은 걸 보면 게스트의 10여년 전 시에프 장면을 보여주는 일만으로 폭소를 불러일으킨다. 자본 진영의 선전선동 기법은 10여년 새 혁명을 이루었다는 얘기다. 그들과 맞서 싸운다는 자네들의 기법은 10여년 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 대중을 설득할 수 없다면 운동이 아니다. 내가 처음 만난 운동권 선배들은 학교 안에서 가장 호감 가는 사람들이었다. 요즘 신입생들이 운동권 선배들에게 어떤 인간적 호감을 느낄 거라 생각하나.”

시간이 지나 그들과 좀더 친해지고 그들의 형편(세는 줄어들고 임무는 더욱 많아진)을 이해하게 되면서 나는 내 ‘보편타당한 비판’을 반성했다. 그것은 운동이 ‘당연하고 자연스런 일’이던 시절(그 시절, 우리가 운동을 하는 건 말 그대로 당연하고 자연스런 일이었다. 군인들이 양민을 도살하고 그 도살자들이 직접 통치하던 시절이었다.)에 운동했던 사람이, 운동이 ‘당연하고 자연스런 일’이 아닌 오늘 힘들여 운동하는 사람에게 주는 차가운 ‘논평’이었다.

게다가 오늘 이른바 학생운동의 경직성과 미숙함은 세상을 바꾸는 일에 일생을 바치겠노라 후배들 앞에서 눈물로 맹세하다 90년대 들어 아무런 설명없이 일제히 사라져버린, 선배와 후배 사이의 호감과 존경을 한순간에 거두어버린 사람들이 마련한 것이다. 오늘 그들은 ‘운동했던 친구들’끼리 만나 ‘논평’하곤 한다. “요즘 운동권 애들 보면 한심해. 아니, 우리가 운동할 때는 말야….” 지나간 추억이나 들먹이는 되먹지 않은 주둥아리들에겐 이런 질문이 제격이다. “그렇다면, 당신들은 오늘 어떻게 살고 있나.”

학생운동은 쇠락하고 있다. 그것은 전체 운동의 침체와 관련한 일시적 현상이라기보다는 전체 운동에서 학생운동이 감당할 몫이 줄어들고 있다는 좀더 본질적인 상황을 뜻한다. 그러나 학생운동의 쇠락이 대학에서 진보의 쇠락을 전적으로 지시하는 건 아니다. 학생운동의 쇠락이 강조되는 가운데, 나는 오늘 대학에서 ‘운동권이 아닌 진보적 청년들’을 종종 발견하곤 한다. 중요한 건 학생운동권이 얼마인가가 아니라 학생 가운데 진보적 신념을 가진 사람이 얼마인가, 그리고 그 신념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가, 다. 이를테면 10년 전 대학에 진보적인 청년이 백이었고 오늘은 다섯이라 치자. 알다시피 그 백 가운데 여전히 신념을 간직한 사람은 하나가 채 안 된다. 오늘 다섯 가운데 10년 뒤 20년 뒤에 둘, 아니 하나라도 남는다면 그게 훨씬 좋은 것이다.

세상은 ‘학생 시절에나 하는 운동’으로 바뀌는 게 아니라 일생에 걸쳐 간직되는 신념으로 바뀐다. 그 긴 신념은 운동을 세상의 모든 지점(운동을 청산한 사람들이나 선택하는 것으로 여겨지던 지점들을 포함한)으로 넓히는 일이기도 하다. 운동하는 판사, 운동하는 국회의원, 운동하는 배우, 운동하는 코미디언, 운동하는 투수, 운동하는 장군, 운동하는 사장…. 세상의 모든 지점에 운동이 스며들 때 세상은 비로소 바뀔 것이다.(끝)김규항/출판인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