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인들이나 미국인들은 우리나라 만화와 일본만화를 구분하지 못한다. 우리가 보기에 낯선 홍콩만화도 역시 구분하지 못한다. 그들 눈에는 전부 하나의 덩어리다. 글로벌한 시각에서 우리 만화의 정체성은 동아시아만화에, 조금 더 정확히 표현하면 일본만화와 연동하고 있다. 은근슬쩍 들어온 일본만화가 우리 만화시장을 장악해가기 시작하던 90년대 초반 ‘한국’만화에 대한 고민과 반성, 전망이 이어졌다. 그러나 시장은 일본식 시스템으로 재편되었고, 젊은 작가와 독자들은 일본식 시스템이 쏟아내는 만화에 길들여졌으니 ‘한국’만화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은 여전히 풀리지 않는 매듭으로만 남아 있다. 하지만 ‘한국’에 찍힌 방점을 ‘만화’로 옮겨, 한국‘만화’를 고민한다면, 일본과 우리나라의 독자들이 함께 공유하는 동일한 트렌드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트렌드 장르를 공략하라!일본과 우리나라 독자들이 함께 공유하는 트렌드는 장르와 소재, 표현, 연출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우
달콤쌉싸름한 청춘 스케치
-
지난 7월17일, 서울 영산아트홀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콘서트가 열렸다. 콘서트의 주인공은 재즈 기타리스트인 랄프 타우너(Ralph Towner). 그의 콘서트가 한국에서 열린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 약간은 의아했다. 글쎄. 관객이 많이 올까. 현대 재즈 기타의 거장이긴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그의 공연을 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 그러나 나의 그런 걱정은 기우에 불과했다. 초대권을 받아 온 사람들도 꽤 있었겠지만 공연장의 1층은 거의 꽉 들어찼다. 더구나 공연이 끝나고 랄프 타우너의 사인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장사진을 이루었다. 그런 걸 보면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좋고 깊은 음악을 들으려는 사람들의 수가 예전에 비해 은근히 많아졌다는 생각도 든다. 그 보이지 않는 팬층이 한 집단의 음악계를 풍성하게 함은 물론이다.무대에는 클래식기타 한대와 길드사의 명품 12 스트링기타 하나가 놓여 있었다. 중간에 국내 기타리스트 이병우가 게스트로 출연하여 같이 연주한 것 이외에는 모두
[공연] 랄프 타우너의 콘서트
-
[앨범 전체 이어듣기]`미녀와 야수`의 커플은 `미녀와 왕자` 커플의 변종이다. 전통적으로 존재해왔던 미녀와 야수 이야기는 끝에 야수가 미녀와 키스하는 순간 왕자로 변하도록 세팅되어 있다. 그러니까 그 야수는 결국은 왕자인 셈이다. 왕자로 이상화되는 존재의 내면을 보여주는 캐릭터라고나 할까. 그런데 <슈렉>의 구조는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야수의 상대인 미녀가 결국 추녀로 변하는 것이다. <슈렉>이 놀라운 건 전통적 이야기 구조의 완전한 뒤집기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뭘로 뒤집나? 대중문화적 코드를 동원하여 뒤집는다. 미녀는 핀업 걸이고 그녀를 흠모하는 난쟁이 왕의 거울은 TV이다. 슈렉의 짝인 당나귀는 수다쟁이 에디 머피이다. 이 모든 이미지들에 환멸을 느껴 늪지대에 칩거하는 자폐증 환자가 괴물 슈렉이다. 융의 아니무스-아니마 이론에 버금하는 이중 삼중의 원형적인 뒤집기는 결국, 아주 단순하게는 ‘안티 다이어트’의 메시지일 수도 있다.미국적인
로큰롤, 추방된 영혼들의 축제
-
라면의 다양한 조리법을 담은 단편영화 <바다가 육지라면>에 출연하기도 했던 사진작가 구성연이 식품을 소재로 찍은 사진들. 조개, 무 등 여러 가지 음식들에 깨진 유릿조각을 꽂아 재미있는 표정을 연출했다. “유리의 특성과 사람들이 그것을 이용하는 몇몇 방식들은 우습게도 상처의 속성과 그것을 이용하는 방식을 생각나게 했다. 이 사진들은 유리라는 사물이 갖고 잇는 특성들에 대한 연상의 결과다”라고 작가는 전시회를 소개한다. 밥 위에 푸르스름한 유릿조각들을 덮은 <거북, 밥>, 무에 갈색 유릿조각을 비늘처럼 꽂은 <괴물, 무우>, 늙은 오이에 유리로 꽃장식을 얹은 <꽃단장, 늙은 오이>등 작품마다 재치가 넘친다.
[공연] <유리-구성연 두번째 개인전>
-
-
안치환과 자유가 7집 음반 <Good Luck!>을 내고 그동안의 음악활동을 총망라하는 공연을 한다. 1966년새으 연세대 84학번인 안치환은 이른바 386세대. 민중가요와 대중가요를 양분하는 사고는 그에게 굴레와도 같았다. 이번 음반은 그런 고민과 노래에 대한 안치환 스스로의 물음을 담았다. 386세대에게 술 한잔을 권하는 심정의 노래인 <위하여>, 콘서트에서 불러왔던 김민기 작사.작곡의 <철망 앞에서>등을 연주한다. 1부 포크, 2부 국악, 3부 록의 노래다발 속에 20여곡을 부를 예정.
[공연] <안치환과 자유 7집 음반 발매기념 콘서트>
-
오! 부라더스 <명랑 트위스트>/카바레 발매7월 7일 토요일 저녁 6시. 경복궁 지하철역에는 난데없는 복고풍 음악 파티가 벌어졌다. 복숭아뼈쯤까지 올라가 있는 바지도, 상의도 좀 짧은 듯한 진하늘색 양복 차림에, 기타, 베이스, 색소폰, 드럼을 쿵짝쿵짝 신명나게 연주하는 다섯명의 젊은 남자들 때문이다. 순전히 지하철역을 지나려다 발길을 멈춘 아저씨, 아주머니, 아기들, 젊은 언니, 오빠들이 하나둘 모여들면서 역사 내 무대 주변은 슬슬 들썩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와~ 와와와와~”하는 옛날스런 코러스로 시작되는 <명랑 트위스트>, “신나는 트위스트 함께 흔들어, 돌리고 다시 찍고, 같이 돌려요, 흥겨운 트위스트 모두 춤춰요”하고 노래가 흐르자 흥에 겨운 아저씨가 트위스트 스텝을 밟고 나눴다. 출장밴드 아저씨들마냥 능청스럽고 친근하게 50~60년대풍 음악을 들려주는 그들. 바로 `오! 부라더스`다.오! 부라더스? 이름이 좀 촌스러운 것 아닌가? 그나마 `브라더스`도
젊음의 고속도로 함께 달려요
-
많은 여성 애니메이션 작가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여성의 불평등문제나 자아의 정체성, 미디어에 의해 왜곡된 여성관 등을 즐겨 소재로 다룬다. 지난주에 언급했던 모니크 르노나 앨리슨 드 비어, 수잔 피트 등이 대표적인 페미니즘 성향의 작가이다. 하지만 이런 진보적인 경향은 종종 여성 애니메이션 작가들의 작품을 여성운동의 연장선에서만 바라보는 시각도 낳았다. 즉 여성 작가들은 모든 사회적 현상을 늘 ‘여성’이라는 틀을 통해 해석하려 한다는 것이다.물론 여러 여성 작가들이 작품의 기저에 페미니즘 성향을 담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모든 작품들이 꼭 그런 것은 아니다.영국 출신의 조아나 퀸은 페미니즘의 시각을 빌리지 않으면서도 날카로운 시대인식과 풍자를 보여주는 작가이다. 그녀의 초기 대표작 <브리타니아>는 영국의 제국주의 역사를 우화적으로 비판한 수작이다. 영국이 자랑하는 문화와 풍습, 상징들이 사실 다른 나라의 부와 권력을 도둑질해서 얻은 것에 불과하다며 통렬하게 조
해외만화애니...여성 작가는 ‘페미니즘’만 외친다고?
-
이정애의 <사일런트 리밋><열왕대전기>의 이정애가 오랜만에 장편으로 독자들을 만난다. 인터넷 만화사이트 코믹스투데이(comicstoday.com)에 연재중인 <사일런트 리밋>의 단행본 1권이 출간되었다. 인간의 나약한 정신에 침투해 분열을 일으키는 영적인 존재와 이들에 맞서 사투를 벌이는 인간들, 그리고 둘 사이의 공존을 꿈꾸는 정신과 의사…. 그녀의 다른 작품과 마찬가지로 난해하고 철학적인 장치들이 얽혀 있지만, 강력한 액션과 다이내믹한 진행이 색다른 느낌을 자아낸다. 사이코미스터리, 퇴마호러, 거기에 무협의 요소까지 결합된 복합장르 작품인데다가, 방대한 지역을 넘나드는 설정과 다양한 인물 등의 요소가 결코 작품을 만만하게 읽어치울 수 없게 한다. 하지만 이정애의 열혈 팬들은 그녀가 만든 복잡한 수수께끼들을 풀어나가는 재미에 만화를 봐왔기에 이번 장편은 더욱 관심을 끌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고도 보인다.둘리와 함께하는 고룡이 만화캠프어린이들을 흥분
이정애의 <사일런트 리밋>
-
야자와 아이의 <나나>는 매력적인 설정의 만화다. 귀엽지만 평범한 소녀가 무턱대고 동경에 올라와, 그와 같은 이름의 여자아이와 동거 생활에 들어가게 된다. 몇 가지 우연이 개입되지만, 그럭저럭 봐 줄 만하다. 누군들 청운의 꿈을 품고 도시에 올라와 갖은 고생을 해보지 않았을까? 그런 불쌍한 청춘들에게 약간의 행운 정도야 오히려 내가 신들에게 부탁해볼 정도지.만화 속에서라도 꿈꿔보자그런데 그 행운을 읊어볼까? 돈이 없는 나나가 제대로 된 방을 못 구해 겨우 찾아낸 것은 클래식한 서구형 빌딩의 전망 좋은 7층 방, 약점이라고는 엘리베이터가 없다는 점(그런데도 계단을 낑낑거리며 올라가는 장면 하나 나오지 않는다). 그래도 월세가 조금 비싸 고민하고 있었는데, 기차에서 만난 같은 이름의 여자아이가 마침 그 방을 보러 와 있었고, 복덕방 할아버지의 제안으로 함께 방을 빌려쓰기로 한다. 물론 방의 구조도 각자의 독립된 방이 같은 크기로 되어 있고, 가운데는 공동의 거실이 준비되어 있
행운의 여신은 누구 편인가
-
2001년이 된 지금, 큐브릭이 꿈꾼, 우주에 나간 아빠가 딸한테 일상적인 애정이 담긴 메시지를 보내는 세상은 오지 않았다. 그의 상상은 미래에 관한 한 빗나간 것이다. 그러나 지금 이 영화를 볼 때 도리어 빛나는 것은 과거에 대한 그의 관점이다.이 영화에 관한 한, 그는 인류의 역사를 변증법적인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과거 우리나라의 어느 보일러 선전에서도 차용되었던 유명한 뼈다귀 던지는 장면과 우주선의 유영으로 이어지는 장면의 연속은 그저 연속적인 것만은 아니다. 그것은 역사를 통해 드러나는 어느 변증법적인 행위들의 고통스러운 좌충우돌의 시퀀스인 것이다.스탠리 큐브릭은 이 영화에서 마치 인류가 도구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우주선까지 가게 된 그 (근대적인 관점에서는) 위대하고도 잔인한 역사적 이정표들의 음악적인 대응항들을 찾듯, 음악을 고른다. 그렇게 해서 고른 첫 음악이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이다.이 음악은 위대하고도 잔인한 음악
변증법적 시선
-
장기적으로는 음악애호가에게 불리하다고 하지만, 음반구매자 입장에서 어떤 경우에는 편집음반의 분명한 장점이 있다.
한두곡은 괜찮지만 음반을 사기에는 도저히 아까운 가수의 노래가 들어 있을 때, 지금은 음반을 구하기가 너무 힘든 가수의 노래가 담겨 있을 때 편집음반을 사는 것은 이익이다.
무려 6장으로 구성된 <동감>에도 이런 장점이 확연하게 있다. 미발표곡인 전인권의 <다시 이제부터>, 딕 훼밀리의 <흰구름, 먹구름>, 배인숙의 <누구라도 그러하듯이>, 이윤수의 <먼지가 되어> 등 옛노래들과 이현우, 플라워, 조장혁 등 요즘 가수들의 노래가 이별, 친구 등 주제별로 모여 있다.
[음반] <동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