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훈이 만화] <호텔 뭄바이> 먼저 프론트를 점거하고 직원을 감금한다!
[정훈이 만화] <호텔 뭄바이> 먼저 프론트를 점거하고 직원을 감금한다!
-
올해 스무살을 맞은 전주국제영화제에 잘 다녀왔다. 원래 갈 계획이 없다가 가게 되니, 더 즐거운 시간을 보낸 것 같다. 올해도 <씨네21>이 영화제 공식 데일리로 참여하면서, 매일 어떤 기사와 인터뷰로 채울지 데일리 구성안을 짜는 것보다 더 힘든 삼시세끼 맛집 순례 구성안을 짜느라 고생했다. 기자들 모두 출장 기간 중반을 통과하며 가져온 바지가 맞지 않는다고 호소했고, 특히 술독에 빠진 송경원 기자는 매일 밤 자리가 파한 뒤에도 나라 잃은 백성처럼 숙소로 복귀하길 거부하며 전주 영화의 거리를 헤매고 다녔다(혹시 그의 행방을 아시는 분들의 제보를 기다린다). 데일리 작업실은 전주 라운지의 <스타워즈> 컨테이너, <스타워즈> 갤러리와 가까워 하루 종일 수백번 무한 반복되는 존 윌리엄스의 <스타워즈> O.S.T를 듣느라 계속 그 환청에 시달리기도 했다(한동안 <스타워즈>를 볼 일 없을 것 같다). 그렇게 9권의 데일리가 끝났다.
올
[주성철 편집장] 스무살 전주국제영화제와 함께하며
-
미들 차일드. 맏이와 막내 사이에 낀 아이. 삼 형제로 말하자면 둘째. 90년대 드라마 <느낌>으로 치면 김민종. 제목만 보면 이 노래는 제이 콜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담은 작품 같다. 사실 자전적인 작품은 맞다. 하지만 이 노래에서 제이 콜은 자신의 집안 대신 힙합 신에 대해 이야기한다. “나는 두 세대 사이에 끼어서 죽을 지경이야/ 나는 누군가에겐 형이고 누군가에겐 동생이지/ 21 새비지와 녹음을 마친 다음/ 제이 지와 점심을 먹으러 가.” 힙합 신의 미들 차일드. 20살 래퍼들에겐 큰형이지만 제이 지나 나스에게는 작은동생뻘인 존재. 그게 바로 현재 제이 콜의 위치다. 그리고 이 틈바구니에서 혼란을 느낀 제이 콜은 균형을 잡으려고 애쓴다. 형들의 힙합과 동생들의 힙합이 이렇게나 다른데, 나는 그 중간에서 어찌해야 한단 말인가. 그 진솔하고도 현실적인 이야기가 이 노래에 담겨 있다. 이 노래를 들은 후 한국 힙합으로 눈을 돌리면 한명이 시야에 들어온다. 오왼 오바도즈. 얼
[마감인간의 music] 제이 콜 <Middle Child>, 전통이란,
-
얼마 전 우연한 기회에 글쓰기 관련 특강을 한 꼭지 맡아 하게 됐다. 글쓰기라니, 내가 들어야 할 강의인데 나 같은 사람이 무슨 강의를 하나 뒤늦은 후회를 했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이제 와서 감독을 꿈꾸게 된 멋진 계기나 나만의 창작론 같은 걸 만들어낼 수도 없고 해서, 그냥 수업 내내 실상 나라는 사람이 예술과 글쓰기와 얼마나 거리가 먼 사람인지, 그런 평범하고 별 볼 일 없는 내가 삶의 크고 작은 사건들을 겪으며 어떻게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창작을 시작하게 됐는지, 그래서 아직도 내게 글쓰기가 얼마나 어렵고 또 어떤 고민들이 있는지 등을 구구절절 풀어놓았다. 이 애매하고도 은밀한 고백은 열심히 눈을 밝히고 귀를 기울이며 더 큰 이야기를 나눠준 수강생분들 덕분에 다행히 조금은 덜 부끄러운 것이 되었고 또 조금은 더 의미있어지기도 했다. 사람들 앞에서 어떻든 나 자신을 고백할 수 있게 된 이런 상황이 조금 자랑스럽기도 했다.
그런데 수업 말미에 한 수강생이 조심스레 던진
아직 괜찮지 않습니다
-
-
시네마는 집단 체험의 예술이지만 장민승 감독과 음악가 정재일의 명상적 중편 <오버 데어>는 혼자만의 관람도 권할 만하다. 2015년부터 2년간 제주의 자연을 촬영한 영상과 사진이 때로는 안개로 매개된 디졸브로, 때로는 단호한 컷으로 연쇄되는 <오버 데어>는 화면 안 소리를 배제하고 정재일의 음악으로 사운드트랙을 채웠다. 고드프리 레지오 감독과 필립 글래스의 문명비판적 <카시> 3부작을 연상하는 관객도 있겠으나, <오버 데어>는 자연의 이미지를 미학화하고 나아가 추상화한다. 정재일의 음악은 자연의 순환을 닮아서 낙숫물처럼 이미지의 표면을 건드리다가 격랑을 이루고 다시 잦아든다. <오버 데어>의 메시지는 감독이 이 영화가 자연을 바라보는 관습적 시선을 벗어나 열심히 대상을 바라보기 때문에 자연히 생성된다.
04/13
음식점 덕향오리의 사장이자 독신모인 김미희(김소진)는 샐러리맨 기혼남 권대원(김윤석)과 사랑에 빠져 임신하기에 이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사중주
-
감독 왕가위 / 출연 유덕화, 장만옥, 장학우 / 제작연도 1988년
나는 하숙생으로 서울 생활을 시작했다. 갓 상경한 대학 새내기 시절, 하숙집에서 선배들의 머슴(?) 생활을 했는데 그들은 밤에 나를 종종 불러 재밌는 이야기를 시키곤 했다. 처음 며칠은 무사히 넘겼지만 레퍼토리는 바닥났고 재미가 없거나 준비된 얘기가 없으면 난감했다. 몇주 뒤 새로 선배 한명이 입주했는데 그와는 늘 영화 이야기를 나누며 잠이 들었다. 어릴 때부터 <로드쇼>나 <스크린> 같은 영화 월간지를 탐독하던 나였지만 대학에서 학사경고를 받아가며 영화 생각만 하던 선배가 해주는 얘기는 신세계가 따로 없었다. 그런 선배 덕분에 비디오방에서 재발견한 영화가 <열혈남아>(원제 <몽콕하문>)다. 이미 중학생 때 친구집에 모여서 봤던 영화다. <영웅본색>이나 <첩혈쌍웅>을 기대했던 친구들에게 온갖 비난을 들었지만 이 영화를 몰라본다고 스스로를 위안했던
[내 인생의 영화] 유태경 감독의 <열혈남아>
-
고용노동부 근로감독관이 악덕 사업주를 응징하는 MBC 드라마 <특별근로감독관 조장풍>(이하 <조장풍>)을 보고, 화요일 밤 11시에 KBS2로 채널을 돌리면 드라마 <회사 가기 싫어 2019>(이하 <회사2019>)가 이어진다. 의자 바퀴가 걸리는 ‘쫄대’ 유무로 직급에 따른 사무실 권력 서열을 가늠하는가 하면, 풍수지리연구원이 출연해 수맥이 흐르는 자리와 승진 명당 자리를 골라낸다. ‘평범한 직장인들을 위한 초밀착 리얼 오피스 드라마’를 표방하는 <회사 2019>는 우리에게 묻는다. “오늘, 당신의 자리는 안녕하십니까?” 지난해 9월, 파일럿으로 먼저 선보인 6부작 <회사 가기 싫어>에는 “대한민국 직장인 1680만명”이라는 내레이션이 있었다. 직장인의 기준이 뭘까. 사무실 출퇴근 유무?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전체 임금노동자 수는 2017년 기준으로 1988만명. 이중에서 파견·용역·위탁·도급·사
[TVIEW] <특별근로감독관 조장풍>, ‘초밀착 리얼’의 명과 암
-
[정훈이 만화] <프렌즈: 둥지탈출> 둥지를 떠나 광야로 나갑시다!!
[정훈이 만화] <프렌즈: 둥지탈출> 둥지를 떠나 광야로 나갑시다!!
-
<어벤져스: 엔드게임>(이하 <엔드게임>)이 한국 개봉 8일 만에 8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예매창이 열림과 동시에 사전 예매량이 무려 100만장을 돌파했고, 멀티플렉스 체인 CGV 공식 홈페이지 서버는 일시적으로 다운되기도 했다. 심지어 CGV 홈페이지에는 기존 홈페이지 화면이 아닌 “하… 그렇게 준비했건만, 이렇게 많이 오실 줄은… 최대한 빨리 해결할게요. 잠시만 시간을 주세요. ㅜㅜ”라는 안내문이, 팝콘 통을 떨어트린 캐릭터와 함께 떠 있을 정도였다. 이 정도 속도라면 전작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이하 <인피니티 워>, 2018)의 1100만 관객을 넘어서는 것은 물론, 1300만 관객을 동원하여 한국/해외영화 통합 역대 박스오피스 6위에 올라 해외영화 중에서는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는 <아바타>(2009)의 기록도 10년 만에 깰 가능성이 높다. 자연스레 <인피니티 워>에 이어 <엔드게임> 또한
[주성철 편집장] 스크린 독과점에 대하여
-
에조의 첫 정규 앨범 제목은 《Mind Web Wanderer》(2019)다. 장르를 분류하는 음원 사이트에서 그의 음악은 ‘힙합/랩’ 범주에 들어간다. 하지만 직접 음악을 들으면 전자기타와 드럼부터 비트를 찍어낸 전자음의 나열에 이르기까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요즘 힙합과는 거리가 있다. 한국과 미국, 인도에서 삶을 보낸 이 방랑자 같은 음악가에게 ‘원더러’(Wanderer)라는 제목은 자연스러웠을 것이다.
어떤 음악이 담겨 있느냐는 뻔한 질문을 에조에게 던지니 재미있는 대답이 왔다. “어떤 종류의 음악을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한 작업은 아니에요. 음악을 만들면 계속 내면의 이야기를 듣게 되거든요. 그 안에서 계속 자신과 대화하고, 그 과정에 있는 이야기를 만들었어요.” 감각과 느낌으로 곡을 설명하자면, 나른한 멜로디부터 소음이 가득한 노이즈까지 다양한 연주 위에 조금 낮고 탁한, 때로는 날카로운 에조의 목소리가 ‘읊조린다’는 표현처럼 어우러진다. 때로는 랩이고, 때로는 흥얼거림이
[마감인간의 music] 에조 《Mind Web Wanderer》, 여름처럼
-
지인의 이사를 도와주던 날이었다. 그날의 이사는 평소와 좀 달랐다. 지인의 집에는 예술 작품이 많아서 용달 기사님들은 서로 “작품 조심해요!”라고 경고하며 짐을 옮기고 있었다. 나는 골판지를 겹겹이 붙여 만든 작은 가구 하나를 보고 지인에게 “이거 아이디어 좋네. 직접 만들었어요?”라고 물었다. 지인은 미소를 띠면서도 자못 진지하게 “건축가 프랭크 게리가 디자인한 작품이에요”라고 답했다. 우리 대화를 엿들은 기사님은 말했다. “난 도저히 이해가 안 가요. 그게 어떻게 작품이에요? 아무리 봐도 골판지 붙여놓은 건데.” 작품들 때문에 가뜩이나 긴장하며 짐을 나르는데, 그렇게 작품 아닌 것 같은 작품을 갑자기 만나면 난감할 수도 있겠다 싶었다. 실제로 한 설문조사에 이런 질문이 있다. “현대미술은 초등학생도 그릴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다수의 사람들이 “그렇다”라고 답했다. 그렇다면 예술성이란 무엇일까? 초등학생도 만들 수 있고, 골판지같이 저렴한 재료로 만들 수 있는 작품이라면, 우
예술성이란 무엇인가?